최근 한국사회는 국제이주민들의 수가 증가하면서, 사회전반 전문분야의 문화다양성 수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한국 도서관계에서도 다문화서비스 운영방안에 대한 다양한 모색들이 이루어져 왔고, 이에 많은 연구물들은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운영에 대한 모델과 발전방안을 제시해왔다. 본 연구는 도서관 이용자 약 90%가 국제이주민인 안산다문화작은도서관의 운영사례를 분석하여 국제이주민을 위한 공공작은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은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살펴보고자한다. 안산다문화작은도서관은 이주민의 정착과 적응을 돕는 교육공간과 지역주민의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선주민과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이루어가는 공간으로서, 이렇게 두 가지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구체적인 운영사례연구를 통하여 지역의 작은도서관이 이주민들과 지역사회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지 그 가치와 의의를 보여주고자 한다.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겪는 여러 어려움과 한계를 제시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the rapid increase of foreign immigrants, South Korea recently has grown more and more interested in the acceptance of cultural diversity in diverse fields at the whole society. Korea Library Association also has sought the way of multicultural service for foreign immigrants in libraries and many previous researches has suggested those.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small community library functions for foreign immigrants, analyzing on the case of multicultural library located in Wongok-dong, Ansan-si, where about 80% population of residents are foreign immigrants. Ansan multicultural library has two functions in the community. One is the educational place for helping immigrants' settlement and adaptation of South Korea. The other is the cultural place for social integration between immigrants and South Koreans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Ultimately this paper shows how values small library in the community has significantly for foreign immigr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