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영은 (충북대학교) 연평식 (충북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한국산림휴양학회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28권 제1호
발행연도
2024.3
수록면
29 - 42 (14page)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근래 급격한 산업의 발전과 도시화로 도시지역 인구가 급증하면서 환경유해인자가 많은 도시지역의 환경성 질환 발생 위험에 대한 관심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한 예방과 치료에 있어 도시지역에서 산림과 녹지공간이 가진 긍정적인 기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도시 녹지공간의 면적에 따른 환경성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의 녹지공간 면적과 환경성 질환 진료인원수의 자료를 각각 서울열린데이터광장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SPSS 25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1인당 녹지면적과 녹지율을 산출하고 동일크기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환경성 질환의 진료인원수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1인당 녹지면적에 따른 결막염, COPD, 천식, 천식지속상태의 진료인원수는 1인당 상위녹지면적 1.3493 – 3.2803(m2)이 1인당 하위녹지면적 .2848 – .9135(m2)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녹지율에 따른 결막염, COPD, 천식의 진료인원수도 상위녹지율 2.635-4.200(%)이하위녹지율 .514 – 1.613(%)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반면 아토피성피부염은 1인당 중위녹지면적 .9136 – 1.3492 (m2)일 때, 알러지성비염은 중위녹지율 1.614 – 2.634(%)일 때 진료인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 녹지공간의 비율이 높을수록 환경성 질환 중 결막염, COPD, 천식, 천식지속상태는 전반적으로 진료인원수가 낮아지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알러지성비염과 아토피성피부염은 중간범위일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도시 녹지공간이 환경성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도시지역 대상지의 공간의 범위를 확장하여 다양한 도시성 수준의 지역 연구가 이루어질 것과 도시지역 간의 차이를 볼 수 있는 연구설계를 제언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재료 및 방법
III. 결과 및 고찰
IV.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151-24-02-089814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