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경제 발전과 소득 수준 향상으로 아웃도어 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모든 계층에서 산림휴양시설과 산림 문화에 대한 수요가 보편적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산림 문화를 알리고 교육하는 산림박물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시대 흐름에 맞춘 산림박물관의 전시 공간 개선과 콘텐츠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립산림박물관 방문객을 대상으로 전시 선택 속성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전시 매체 연출 요인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도출함으로써 산림문화 전시공간 기획 및 리모델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국립산림박물관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출구 조사를 통해 설문이 실시되었으며, 자기기입방식의 설문조사는 2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1차 설문조사에서는 전시 공간 선호도 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전시 체험 매체 3종(전시 해설, 인터렉티브 미디어, 목재체험)을 신규 개발 및 적용하였다. 2차 설문조사에서는 적용된 전시 체험 매체에 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체험 매체 만족도와 연령별 선호도 등 방문객 경험 만족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설문조사 분석 결과, 전시 만족도에 있어 전시 공간 선호도에서는 '나이테와 지구의 역사', ‘고대부터 현대까지 산림 역사’, ‘인간과 식물, 곤충, 버섯’와 같은 주제가 높은 선호를 보였고, 개선이 필요한 분야로는 '살아있는 숲‘이 제시되었다.상설 전시 주제 개선에 대한 의견을 통해, 영상관을 확대하고 체험 공간을 다양화하며, 환경적 특성을 강조한 콘텐츠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규 도입된 전시 체험 매체 중에서는 전시 해설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다양한 체험 매체를 경험할수록 만족도가 높았으며, 참여 연령대에 따라 만족도가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연령대별로 40대와 50대의 재방문 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다양한 연령을 고려한 전시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결론) 이를 토대로 추후 리모델링 시 전시 체험 매체 다양화, 전시 공간 및 콘텐츠 개선, 관람객 특성을 고려한 멀티타켓팅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산림박물관에 대한 대중 인식을 향상시키고, 구체적인 리모델링 방향성과 전시 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산림박물관의 운영 및 전시 방식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 economic development and rising income levels have increased interest in outdoor activities, indicating a widespread recognition of the demand for forest recreation facilities and forest culture across all social classes. Consequently, the role of forest museums in promoting and educating about forest culture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necessitating improvements in exhibition spaces and content that align with contemporary trend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hibition selection attributes and satisfaction levels of visitors to the National Forest Museum to identify effective exhibition media presentation factors and derive improvements, ultimately seeking to plan and remodel the forest culture exhibition space.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exit survey targeting visitors to the National Forest Museum, utiliz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over two phases. In the first pha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n exhibition selection attributes and satisfaction levels, which served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ree new exhibition experience media(Exhibition Interpretation, Interactive Media, Wood Activities). In the second phase, a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regarding the applied exhibition experience media to comprehensively analyze visitor experience satisfaction, including the satisfaction with experience media and preferences by age group. (Results)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in terms of exhibition satisfaction, topics such as "Tree Rings and the History of the Earth," "Forest History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and "Humans, Plants, Insects, and Mushrooms" were highly preferred, while areas needing improvement included "Living Forest." Feedback on improving permanent exhibition themes indicated the importance of expanding the video room, diversifying experiential spaces, and creating content that emphasize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mong the newly introduced exhibition experience media, satisfaction with exhibition explanations was the highest, and satisfaction levels increased with the variety of experiences. Additionally, there was a tendency for satisfaction levels to vary by age group. The intention to revisit was particularly high among those in their 40s and 50s, highlighting the need for an exhibition environment that considers diverse age groups. (Conclusions) Based on this, future remodeling should focus on diversifying exhibition experience media, improving exhibition spaces and content, and establishing a multi-targeting strategy that considers visitor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expected to enhance public awareness of the forest museum and provide specific directions for remodeling and exhibition improvements, which can be utilized to enhance the operation and exhibition methods of the forest mus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