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동효원 김미정
저널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2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발행연도
2024.11
수록면
148 - 151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Smart campuses have gradually become crucial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because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optimizing campus management, improving teaching efficiency, and supporting students’ quality of life. However, they were too focused on efficient handling such as smart classrooms and security systems, and many applications of the technology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m, there are little user participation feedback, flexible space use and social interaction. This study explored directions for a future smart campus centered on user experience and need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trend of smart campus, we first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place of social space centered on school life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smart campus where people, technology, and space work together by incorporating smart campus into social space through the concept of life.

목차

Abstract
1. 서론
2. 스마트 캠퍼스에 관한 이론적 고찰
3. 리빙 개념에 관한 이론적인 고찰
4.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