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김송이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박헌수
발행연도
2013
저작권
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20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최근 우리나라의 소형화되고 있는 가구구조의 변화는 1인 가구의 증가와 관계가 깊다. 젊은층의 결혼관의 변화와 인구 고령화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1인 가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주택시장의 환경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1인 가구의 세밀한 주택수요 패턴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1인 가구의 주택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주택 수요를 추정하는 불가피하게 발생 할 수 있는 표본 선택에 따른 편의를 줄이기 위해 Heckman의 Selection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실증 분석을 위해서 노동패널 11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변수들은 기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크게 가구의 인적특성, 경제적 특성, 거주주택 특성 변수로 구분할 수 있다.
인적 특성 변수에는 가구주의 연령, 교육년수 등을 사용하였는데, 가족의 생애주기에 따라 가구의 주택소비는 규모와 형태를 달리하며, 1인 가구의 경우 특히 가구주의 연령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특성변수에는 항상소득 순자산 및 사용자비용 변수를 사용하였으며, 주택수요결정에 주요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자산 규모가 작은 1인 가구의 경우 주택을 자가 구매할 경우 미래 소득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인 항상소득 보다는 실제 주택 구매 시 발생하는 거주비용에 더욱 민감한 것으로 예상된다. 결과적으로 1인 가구는 전체가구에 비해 거주비용 부담이 적은 주택을 소비를 실행할 가능성이 높다.
차가인 1인 가구의 경우 항상소득과 임시소득이 증가할수록 주거면적에 대한 주택소비는 증가하며, 사용자비용이 증가할수록 주택수요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인 가구는 소득과 거주비용을 고려해 임차 주택의 주거면적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주택특성에는 주택유형과 거주지역을 변수로 사용하였으며, 이 또한 주택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체가구와 마찬가지로 서울에 거주할 경우 비 서울지역보다 주택소비량이 적을 것으로 판단되어, 서울에 거주하는 1인 가구는 비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1인 가구보다 상대적으로 주택가격 대비 주거 면적이 작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1인 가구의 주택수요는 연령별로 소비형태가 다르며, 경제적으로 취약하고 사회적으로 소외될 가능성이 높은 저소득층 및 노년층 1인 가구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2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1. 연구방법 3
2. 연구범위 4
제3절 연구가설 및 연구흐름도 5
1. 연구가설 5
2. 연구흐름도 6
제2장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7
제1절 주택수요 결정요인에 관한 고찰 7
1. 항상소득가설 7
2. 생애주기가설 9
3. 주택수요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10
제2절 주택수요의 연구방법에 관한 고찰 15
1. 주택수요의 연구방법 15
2. 주택수요의 연구방법에 관한 선행연구 16
제3절 1인 가구에 관한 고찰 20
1. 가구 구조의 변화 20
2. 1인 가구의 정의 및 유형 21
3. 1인 가구에 관한 선행연구 23
제4절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28
제3장 수도권 1인 가구의 주거현황 29
제1절 수도권 1인 가구의 특성 29
1. 수도권 1인 가구의 인적특성 29
2. 수도권 1인 가구의 거주주택특성 31
제2절 1인 가구 관련 주택정책 36
제3절 소형주택공급 현황 38
제4장 연구모형 42
제1절 Heckman의 2단계 추정법 42
제2절 단계별 모형 43
1. 1단계 프로빗 모형 43
2. 2단계 OLS 회귀분석 44
3. 연구모형의 추정 44
제5장 실증분석 47
제1절 자료 47
제2절 변수 선정 48
1. 단계별 변수 구성 48
2. 변수추정 51
(1) 항상소득 및 임시소득의 추정 51
(2) 순자산의 추정 53
(3) 사용자비용의 추정 54
제3절 기초통계분석 56
1. 표본 가구의 인구학적 특성 56
2. 표본 가구의 경제적 특성 59
3. 표본 가구의 거주주택 특성 62
제4절 모형별 실증분석결과 65
1. 1단계 프로빗 모형 추정결과 65
2. 2단계 OLS회귀분석 추정결과 68
제6장 결론 71
제1절 분석결과의 논의 및 정책적 시사 71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연구과제 73
참고문헌 74
국문초록 79
Abstract 81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