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비밀번호 변경 안내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도서관을 통해 DBpia에 방문하면
SNS 로그인이 제한됩니다.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나효선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이용수4
제1장 서론 1제1절 연구의 배경 1제2절 연구의 목적 3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4제1절 도시계획과 마을만들기 4제2절 마을만들기의 개념 51. 한국의 마을만들기 82. 마을과 마을만들기의 개념 92. 마을만들기 사례 12제3절 마을만들기와 갈등 161. 도시재생사업 과정에서의 갈등 162. 마을만들기 과정에서의 갈등 183. 소결 19제3장 연구대상 및 방법 21제1절 연구대상 211. 배다리 지역의 개요 212. 역사적 맥락에서의 배다리 223. 배다리 지역의 도시재생사업과 주민들의 대응 23제2절 연구방법 261. 연구 참여자 272. 자료수집 30제4장 주민운동의 시작 32제1절 산업도로 건설의 반대: 주민운동의 시작 33제2절 배다리 역사성의 재인식과 마을만들기 36제5장 경계와 갈등 40제1절 주민과 거주자의 경계 40제2절 반목과 갈등 441. 주민-주민의 갈등 442. 단체-단체의 갈등 493. 주민-단체의 갈등 52제6장 갈등의 극복 56제1절 갈등 극복의 과정 56제2절 한계 61제7장 결론 64제1절 배다리의 미래 64제2절 요약 및 결론 67참고문헌 71
광고 및 욕설, 인신공격, 비하 표현이 들어있는 리뷰 작성으로 다른 회원님들로부터 연이은 신고를 받으셨습니다.이로 인해 회원님께서는 리뷰작성 권한이 제한되었습니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