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유애란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지도교수
이순재
발행연도
2014
저작권
건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3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2014년 05월 02일 EBS ‘하나뿐인 지구’라는 프로그램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초등학교 3학년 90%이상이 화장경험이 있으며, 기초화장품은 77%, 색조화장품은 43% 초등학교 때 화장을 시작했다고 했다. 특히 인터넷과 스마트 폰 등을 통해 화장하는 방법, 화장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어 이 세대들의 화장에 대한 올바른 접근이 필요하다. 프리틴 세대들은 신체적, 정신적, 지적, 사회적 성숙 등의 다양한 변화로 자신의 외모에 대한 관심이 나타나는 시기며, 화장하는 연령대가 점점 어려지고 화장경험 사례와 사용하는 화장품 브랜드, 소비패턴 등이 변화함에 따라 이들의 화장품 사용에 대한 실제적인 상황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프리틴 세대의 화장품 사용 실태와 화장품 구매성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생 만10~12세 28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중 응답이 무성의한 설문지 35부를 제외한 245부를 통하여 초등학생의 기초화장품과 색조화장품의 사용실태와 구매성향을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고,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χ2(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p<0.05, p<0.01, p<0.001 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4~6학년의 화장품 사용여부를 살펴 본 결과 기초화장품은 97.4%, 색조화장품은 83.0%가 사용하고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초화장품은 로션이고, 색조화장품은 틴트로 ‘입술 보호제’정도로 생각하고 ‘화장을 한다’는 인식 없이 사용하고 있다.
둘째, 화장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색조화장을 처음 하게 된 이유는 예쁘게 보이기 위해서이며, 가장 강조하는 부분은 입술, 사용횟수는 주에 4번 이상이고 또래 친구들이 화장하는 것에 대한 응답 또한 긍정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초등학생 전용화장품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전용화장품이 있으면 좋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전용화장품 제품의 효과(여드름개선, 미백 등)와 품질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주로 사용하는 브랜드로 에뛰드 하우스가 가장 많았고, 화장품 구매 장소는 백화점에서 부모님과 함께 구매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에 화장품을 구매 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제품의 품질 및 기능이라는 것 또한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프리틴 세대들에게 화장교육을 일찍 시작해야 하고 어린이에 맞는 화장품 개발, 자신의 신체를 소중히 하고 존중하는 가치관 올바른 미의 기준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방법 및 내용 3
제2장 이론적 배경 4
제1절 프리틴 세대의 개념과 특징 4
1. 프리틴의 세대의 개념 4
2. 프리틴 세대의 형성 배경 5
3. 프리틴 세대의 특징 6
제2절 프리틴 세대의 화장 문화 13
1. 화장 문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 13
2. 프리틴을 위한 화장품 20
제3장 연구 대상 및 연구 설계 28
제1절 연구의 대상 28
제2절 연구의 설계 30
제4장 연구결과 분석 및 논의 32
제1절 실태분석 결과 32
1. 외모관리 행동 32
2. 화장품 사용실태 36
3. 화장에 대한 인식 40
제2절 화장품 구매성향에 대한 분석결과 46
1. 초등학생 전용화장품에 대한 인식 46
2. 화장품 브랜드 인식 50
3. 화장품 구매행동 53
제5장 결론 및 제언 59
제1절 결론 59
제2절 제언 62
참고문헌 63
부 록 69
ABSTRACT 77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