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8
Ⅰ.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Ⅱ. 도시재생에 관한 이론적 고찰 71. 도시발전단계 7(1)도시화 7(2)교외화 8(3)역도시화 9(4)재도시화 10(5)도시내부구조의 변화와 재구조화 102. 도시 쇠퇴 13(1)도시쇠퇴의 정의 16(2)도시쇠퇴의 선행연구 17(3)복합쇠퇴지수 선행연구 21(4)복합쇠퇴지수 산출방법 223. 도시재생 28Ⅲ. 수원시 도시 쇠퇴의 공간적 특성 341. 수원시 지역 특성 342. 수원시 도시발달 과정 38(1)근대화 이전 시기 38(2)택지개발 시기 393. 쇠퇴지표 41(1)쇠퇴지표 설정 47(2)분석 및 결과 51Ⅳ. 수원시 도시재생 유형화 951. 도시재생 유형화 100(1)A형 마을 만들기형 102(2)B형 주택 재생형 108(3)도시재생의 유형별 사례분석 116Ⅴ. 결론 1181. 연구의 요약 및 결론 1182. 정책적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120참고 및 인용문헌 12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