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14
제1장 서론 1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1.2.1 연구의 방법 31.2.2 연구의 범위 41.3 연구의 흐름도 5제2장 근린주구론의 한계와지역시설 및 작은도서관 자료 검토 62.1 근린주구론 62.1.1 근린주구 이론과 비판 62.1.2 근린주구론에서 지역 커뮤니티 거점으로 설정된 초등학교의 역할 분석 72.2 지역 시설 122.3 작은도서관 172.3.1 작은도서관 관련 선행 연구 고찰 172.3.2 작은도서관 관련 법제 현황 212.3.3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 222.3.4 지역 커뮤니티의 거점으로 언급되고 있는 작은도서관 24제3장 커뮤니티 거점으로서 작은도서관의 현황과 이용 실태 263.1 조사 방법 및 조사 대상 작은도서관 선정 263.1.1 지역 분포 및 운영 현황 조사 목적과 진행 방법 263.1.2 심층 설문조사 목적과 진행 방법 263.1.3 조사 대상 작은도서관 선정 273.2 고양시 작은도서관의 분포 및 운영 현황 조사 293.2.1 고양시 작은도서관 분포 현황 293.2.2 고양시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 313.3 고양시 작은도서관 이용자의 심층 설문조사 333.3.1 심층 설문조사 대상 8개 작은도서관 현황 333.3.2 설문항목 설계 333.3.3 예비 설문조사 및 시사점 343.3.4 본 설문조사 353.3.5 본 설문조사 결과 36제4장 지역 커뮤니티 거점으로서의 작은도서관 검증 및 활성화 방안 424.1 지역 커뮤니티 거점으로서의 작은도서관 검증 424.1.1 작은도서관은 다양한 계층이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다. 424.1.2 작은도서관은 가까운 거리의 주민들이 이용하는 다용도 활용 시설이다. 454.1.3 작은도서관은 이용자들을 지역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도와준다. 484.1.4 작은도서관은 공공성이 확보된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 504.2 지역 커뮤니티 거점으로서의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 52제5장 결론 및 한계 54참고문헌 57부록1 - 심층 설문조사 대상 8개 작은도서관 정보 60부록2 - 심층 설문조사 설문지 68국문초록 75ABSTRACT 7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