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곽혜숙 (명지대학교, 명지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박부진
발행연도
2016
저작권
명지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3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모의 양육효능감 향상과 양육스트레스 감소 및 모-아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모-아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모-아 집단치료놀이가 모의 양육효능감 증진의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모-아 집단치료놀이가 모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의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모-아 집단치료놀이 실시과정에서 나타난 모-아 상호작용의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A와 B 어린이집의 만 5세 자녀를 둔 어머니와 그 자녀 12쌍을 선정하였다. 모-아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 실시 전 사전검사를 통해 실험집단 6쌍, 통제집단 6쌍을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의 모-아에게 50분씩 12회기에 걸쳐 모-아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은 전체적으로 초기단계, 중기 Ⅰ단계, 중기 Ⅱ단계, 종결단계로 구성되었으며, 단계별 목표에 따라 매 회기 준비활동, 본 활동, 마무리 활동으로 구조화 하여 활동을 구성하였다.
연구도구로 모의 양육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신숙재, 1997; 조인경, 2004;, 최형성·정옥분, 2001; Allen, 1993; Coleman & Karraker, 2003; Johnston & Mash, 1989; Teti & Gelfand, 1991)을 기초로 조영숙(2008)이 제작한 양육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Abidin(1990)의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PSI/SF]를 김현미(2005)가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모-아 상호작용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모는 Mahoney, Finger 및 Powell(1985)의 MBRS(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를 국내에서 김정미와 곽금주(2006)가 번안한 부모 행동 평정 척도(K-MBRS)를, 유아는 Mahoney(1985)의 부모와 상호작용하는 아동의 반응 행동의 평정 척도 CBRS(Chid Behavior Rating Scale)를 김정미와 곽금주(2006)가 번안한 아동 행동 평정 척도(K-CBRS)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각 집단별로 사전-사후 검사를 분류하여 채점 후, 비모수 검증인 맨휘트니(Mann-Whitney)검증과 윌콕슨(Wilcoxon)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모-아 상호작용을 관찰평가하고 기록한 것을 토대로 상호작용 변화에 대한 질적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아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은 모의 양육효능감을 향상시켰다. 모-아 집단 치료놀이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양육효능감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실험집단은 전체 양육효능감 수준과 의사소통, 교육, 전반적 효능감, 통제의 하위요인에서 사전 · 사후의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승이 나타났다.
둘째, 모-아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은 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켰다. 모-아 집단 치료놀이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양육스트레스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실험집단은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체 양육스트레스 수준과 부모의 고통, 부모-자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하위요인에서 사전 · 사후의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
셋째, 모-아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에서 모-아 간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회기가 진행될수록 언어적 · 비언어적인 상호작용이 증가하였으며 모-아 간 행동적 · 정서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모-아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높이고,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모-아 상호작용의 긍정적 변화를 이루었다는 연구결과를 밝힘으로써 그 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 아동과 모를 대상으로 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프로그램에 사용된 집단치료놀이를 활용하여 모-아가 가정 및 치료 장면에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함께 하여 보다 명확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주요어: 모-아 집단치료놀이,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모-아 상호작용

목차

그림목차 ⅰ
표목차 ⅱ
국문초록 ⅲ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1. 양육효능감 4
1) 모의 양육효능감 4
2. 양육스트레스 5
1) 모의 양육스트레스 5
3.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 7
4. 모-아 상호작용의 치료적 요인 8
5. 모-아 집단치료놀이 9
1) 치료놀이의 개념과 원리 9
2) 집단치료놀이 10
3) 모-아 상호작용과 집단치료놀이 11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13
1. 연구문제 13
2. 용어정의 14
1) 모-아 집단치료놀이 14
2) 양육효능감 14
3) 양육스트레스 14
4) 모-아 상호작용 15
Ⅳ. 연구방법 16
1. 연구 대상 16
2. 연구 설계 및 절차 19
1) 연구 설계 19
2) 연구 절차 19
3. 연구도구 21
1) 양육효능감 척도 21
2) 양육스트레스 척도 22
3) 모-아 상호작용 행동관찰평가 24
4. 모-아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 구성 25
1) 모-아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의 목적 25
2) 모-아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의 내용 25
3) 각 회기별 프로그램 26
5. 자료분석 28
Ⅴ. 연구결과 및 해석 29
1. 모-아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29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모의 양육효능감 수준 사전 동질성 검증 29
2) 사전 · 사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모의 양육효능감 효과 검증 30
2. 모-아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31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모의 양육스트레스 수준 사전 동질성 검증 31
2) 사전 · 사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모의 양육스트레스 효과 검증 32
3. 모-아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모-아 상호작용의 변화 33
Ⅵ. 논의 및 결론 46
참고문헌 50
부록 56
Abstract 75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