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홍희경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최정일
발행연도
2016
저작권
숭실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22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최근 중장년층까지 확산된 SNS는 여러 가지 의미로 이용자의 생활을 윤택하게 만들어주었다. 그러나 의도하지 않았던 부작용을 유발하면서 SNS 이용을 중단하거나 기피하는 움직임들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들은 국내 SNS 시장의 서비스 업체 간 경쟁을 더욱 치열하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SNS 서비스 업체의 경쟁력을 높여줄 수 있는 여러 형태의 관련 연구들이 필요하다.
기존의 SNS 피로감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이용자의 SNS 이용중단 및 이용전환과 같은 부정적인 측면으로 연구됐다. 그러나 기존에 발표된 통계자료에 의하면 SNS 피로감 때문에 여러 가지 부작용을 경험한 이용자들 대다수는 여전히 SNS의 지속사용을 희망하고 있다. 그러므로 SNS 피로감과 관련된 연구도 SNS의 지속사용의도를 높일 수 있는 긍정 요인 탐색 및 이용자의 거부감을 줄여 줄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는 연구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SNS 피로감으로 이용을 중지하고 싶으면서도 지속하여 사용하고 있는 이용자들의 심리에 초점을 맞추어 SNS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피고자 했다.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SNS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SNS 이용자의 접속 형태(접속 습관, 접속 도구)와 이용심리(이용 동기, 피로감, 이중 심리) 측면으로 제시하고 이 변인들을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유희성과 함께 살피고자 했다. 또한, 나이, 성별, SNS의 업무적 사용, 그리고 사용하는 SNS의 개수와 각 변인 간의 조절 효과를 살피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과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PCM)을 개념적 틀로 이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 가설의 실증적 검증을 위하여 통계프로그램 AMOS 18.0과 SPSS 18.0을 사용하였다. SNS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IT 계열 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여 Google 설문지 프로그램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응답을 회수했다. 회수한 설문 응답 560부 중에서 결측값 및 불성실한 응답을 한 설문 117부를 제외하고 443부의 설문 응답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인맥 창출 및 확대를 위한 관계 맺음을 SNS 피로감 발생의 근본 원인으로 보고 진행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접속 습관과 접속 도구 변인 모두 지각된 용이성 변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접속 습관과 지각된 유용성 변인 간에는 서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가설이 기각되었다. 둘째, 이용 동기, 피로감, 이중 심리 변인과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유희성 매개 변인 간에는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다. 셋째,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SNS 지속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지각된 용이성은 SNS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가설이 기각되었다. 마지막으로 나이, 성별, SNS의 업무적 사용, 그리고 사용하는 SNS의 개수에 따른 조절 효과 분석 결과 일부 변인과의 관계에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SNS 이용에 긍정과 부정적 심리가 공존하는 것을 인식하고 손실 이득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프라이버시 계산모델과 기술수용모델을 결합하여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이다. 또한, 이용자들이 관계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정서표현 양가성 상황을 이중심리로 정의하고 피로감과 결합하여 심리적 측면으로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SNS를 이용하면서 당면하는 피로감과 이중 심리 때문에 SNS 이용을 갈등하는 이용자들의 타 서비스로의 전환 및 중지를 방어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불어 SNS 이용자들의 서비스 이용 갈등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인에게 최적화된 환경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 동기가 SNS 지속사용의도에 유인요인이 될 수 있으며, 피로감과 이중 심리는 SNS 지속사용의도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제 SNS 피로감은 가시화 단계를 벗어나 보편화 단계로 나아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피로감과 이중 심리의 갈등상황 감소 및 지속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전략은 제시하지 못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SNS 이용자의 피로감과 이중 심리 갈등상황을 줄이고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는 SNS 서비스 제공 방안 및 마케팅 전략 수립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국문초록 ⅴiii
영문초록 xi
제 1 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2 연구의 방법 4
1.3 연구의 구성 5
제 2 장 이론적 배경 7
2.1 연구 모형에 관한 연구 7
2.1.1 기술수용모델(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7
2.1.2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Technology Acceptance Model2) 8
2.1.3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PCM: Privacy Calculus Model) 10
2.1.4 동기 모델(MM: Motivation Model) 13
2.2 SNS에 관한 연구 15
2.2.1 SNS의 정의 15
2.2.2 SNS의 구성 요소 17
2.2.3 SNS의 특성 및 기능별 유형화 18
2.2.4 SNS 서비스의 주요 기능 20
2.2.5 국내외 SNS의 이용 현황 21
2.2.6 국내 모바일 인터넷 주요 이용용도 및 이용시간 27
2.2.7 SNS 피로도 관련 인식 조사 30
2.3 주요 변수의 선행 연구 35
2.3.1 이용과 충족 이론 35
2.3.2 SNS 주요 이용 동기 39
2.3.3 SNS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 41
2.3.4 SNS 수용 및 지속 사용 의도 44
2.3.5 SNS 피로감과 피로감 유발 요인 46
2.3.6 정서표현 양가성과 이중 심리 50
제 3 장 연구 설계 55
3.1 연구 모델 55
3.2 연구 가설 56
3.2.1 접속 습관 56
3.2.2 접속 도구 58
3.2.3 이용 동기 60
3.2.4 피로감 61
3.2.5 이중 심리 64
3.2.6 매개변인과 SNS 지속사용의도 간의 관계 67
3.3 연구 방법 70
3.4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항목 71
제 4 장 실증 분석 74
4.1 표본의 특성 74
4.1.1 응답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74
4.2 탐색적 요인 분석 76
4.3 확인적 요인 분석 79
4.3.1 측정 모델의 적합도 검정 80
4.3.2 측정 모델의 개념 신뢰도, 집중 타당도 검정 81
4.3.3 판별 타당성 검정 83
4.4 구조방정식 모델의 적합도 검정 84
4.5 연구 가설의 검정 87
4.5.1 구조 방정식 모델 87
4.5.2 경로 분석 88
4.5.3 연구 가설의 검증 89
4.5.4 매개 변인과 종속 변인간의 관계 분석 91
4.6 조절 효과 분석 93
4.6.1 성별에 따른 조절 효과 분석 94
4.6.2 연령에 따른 조절 효과 분석 95
4.6.3 SNS의 업무적 사용 여부에 따른 조절 효과 분석 96
4.6.4 주사용 SNS 사용 개수에 따른 조절 효과 분석 97
제 5 장 결론 98
5.1 연구 결과 요약 98
5.2 연구의 시사점 104
5.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106
참고문헌 108
부 록 132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