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22
국문초록 ⅴiii영문초록 xi제 1 장 서론 1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1.2 연구의 방법 41.3 연구의 구성 5제 2 장 이론적 배경 72.1 연구 모형에 관한 연구 72.1.1 기술수용모델(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72.1.2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Technology Acceptance Model2) 82.1.3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PCM: Privacy Calculus Model) 102.1.4 동기 모델(MM: Motivation Model) 132.2 SNS에 관한 연구 152.2.1 SNS의 정의 152.2.2 SNS의 구성 요소 172.2.3 SNS의 특성 및 기능별 유형화 182.2.4 SNS 서비스의 주요 기능 202.2.5 국내외 SNS의 이용 현황 212.2.6 국내 모바일 인터넷 주요 이용용도 및 이용시간 272.2.7 SNS 피로도 관련 인식 조사 302.3 주요 변수의 선행 연구 352.3.1 이용과 충족 이론 352.3.2 SNS 주요 이용 동기 392.3.3 SNS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 412.3.4 SNS 수용 및 지속 사용 의도 442.3.5 SNS 피로감과 피로감 유발 요인 462.3.6 정서표현 양가성과 이중 심리 50제 3 장 연구 설계 553.1 연구 모델 553.2 연구 가설 563.2.1 접속 습관 563.2.2 접속 도구 583.2.3 이용 동기 603.2.4 피로감 613.2.5 이중 심리 643.2.6 매개변인과 SNS 지속사용의도 간의 관계 673.3 연구 방법 703.4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항목 71제 4 장 실증 분석 744.1 표본의 특성 744.1.1 응답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744.2 탐색적 요인 분석 764.3 확인적 요인 분석 794.3.1 측정 모델의 적합도 검정 804.3.2 측정 모델의 개념 신뢰도, 집중 타당도 검정 814.3.3 판별 타당성 검정 834.4 구조방정식 모델의 적합도 검정 844.5 연구 가설의 검정 874.5.1 구조 방정식 모델 874.5.2 경로 분석 884.5.3 연구 가설의 검증 894.5.4 매개 변인과 종속 변인간의 관계 분석 914.6 조절 효과 분석 934.6.1 성별에 따른 조절 효과 분석 944.6.2 연령에 따른 조절 효과 분석 954.6.3 SNS의 업무적 사용 여부에 따른 조절 효과 분석 964.6.4 주사용 SNS 사용 개수에 따른 조절 효과 분석 97제 5 장 결론 985.1 연구 결과 요약 985.2 연구의 시사점 1045.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106참고문헌 108부 록 13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