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박노영 (안동대학교, 안동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박응임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안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hildcare teachers’ adult attahcment and teacher sensitivity affect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how teacher sensitivity has a mediating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For this purpose, three hundred and twenty childcare teachers in Andong-city were surveyed and 310 out of 316 cases were analyzed.
The data for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of ''The interaction Scale'' invented by Lim Ok-Hee and Lee Jin Sook(2006), while the data for child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wa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of ECR-Revised which Kim Sung-Hyun(2004) adapted from ECR-R(Fraley, Brennan & Waller, 2000). For the data collection of teacher sensitivity, ''The Sensitive Scale of Childcare Teachers'' by Min Kwoung-Mi(2014) was used.
Al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cs and t-test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attachmen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sensitivity, I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variables.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sensitivity were investigated through Sobel test(198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 sensitiv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widely different depending on teacher''s age and marital status. Married teachers'' sensitivity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were higher than unmarried teachers’. Also, the sensitivity of relatively older teachers was higher than the sensitivity of younger teachers’. And older teachers’ interaction with children was more active than younger teacher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teacher sensitivity was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In other words, teachers with unstable attachment were less sensitive and had less interaction with children.
Third, age and adult attachment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except for teachers’ marital and parental status.
Fourth, with the exception of age, marital status, and parental status as control variables, teacher sensitivity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s a result, when teacher sensitivity mediates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negative influence of teachers’ unstable adult attachmen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could be reduced. In that case, teacher sensitivity acts as a perfect mediator.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1.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 6
2.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8
1) 교사의 성인애착이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8
2) 교사의 민감성이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10
3. 교사의 성인 애착, 교사의 민감성,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의 관계 12
Ⅲ. 연구 방법 14
1. 연구 대상 14
2. 측정 도구 14
1)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 척도 16
2) 교사의 성인애착 척도 17
3) 교사의 민감성 척도 17
3. 자료 분석 18
Ⅳ. 연구 결과 20
1. 인구배경학적 변인에 따른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 및 교사의 민감성 20
1) 연령에 따른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 및 민감성 20
2) 결혼유무에 따른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 및 민감성 21
3) 자녀유무에 따른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 및 민감성 21
2.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 교사의 성인애착 및 민감성의 관계 22
3. 교사의 성인애착이 교사의 민감성 및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23
1) 교사의 성인애착이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23
2) 교사의 민감성이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24
4. 교사의 성인애착이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민감성의 매개효과 25
1) 교사의 성인애착이 교사의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26
2) 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 관계에 대한 민감성의
매개효과 27
Ⅴ. 논의 및 결론 30
1. 논의 30
2. 결론 및 제언 33
참고 문헌 35
부록 41
부록 1. 설문지 안내문 41
부록 2.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 척도 44
부록 3. 교사의 성인애착 척도 47
부록 4. 교사의 민감성 척도 50
Abstract 53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