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12
목 차표 목차 ⅳ그림 목차 ⅵ논문 개요 ⅶⅠ.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3. 연구의 내용 및 구성 7Ⅱ. 이론적 고찰 91. 주거급여제도의 특징 및 현황 9가. 주거급여제도 지급의 원칙과 수급자 선정기준 9나. 주거급여제도 수급권자의 거주유형 구분 및 현황 13다. 주거급여제도 임차급여 지원 금액 및 지급방법 192. 외국의 주거급여제도 현황 21가. 외국의 주거급여제도 현황 21나. 시사점 283. 임대주택의 주거만족도 개념 및 영향요인 29가. 주거만족도의 개념 및 특징 29나. 임대주택 주거만족도의 영향요인 314. 선행연구 고찰 및 본 연구의 차별성 32가. 공공임대주택 주거만족도 관련 연구 32나. 민간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선택 및 주거만족도 관련 연구 35다. 주거급여제도 관련 연구 37라. 본 연구의 차별성 39Ⅲ. 연구설계 411. 변수의 선정 및 조작적 정의 41가. 변수선정 프로세스 및 내용 41나. 주거급여 수급권자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43다. 최종 변수선정과 조작적 정의 472.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48가. 연구모형 48나. 연구가설 493. 조사설계 51가. 설문조사 계획 51나. 분석방법 54Ⅳ. 실증분석 551. 표본의 특성 및 주거급여제도 관련 인식차이 55가. 표본의 일반적 특성 55나. 응답자 특성별 주거급여제도 관련 인식차이 분석 622. 거주유형별 평균차이 분석 84가. 거주유형별 인식차이 분석 84나. 거주유형별 주거선택 중요도 차이 분석 913.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994. 상관관계분석 1045. 연구모형 및 가설검증 105가. 공공임대주택 수급권자 그룹 연구모형 및 가설검증 106나. 민간임대주택 수급권자 그룹 연구모형 및 가설검증 108다. 공공임대주택 유형별 주거만족도 영향력 차이 1106.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113가. 응답자 특성별 주거급여제도 인식차이 비교 결과 113나. 거주유형별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의 중요도 비교 결과 115다. 거주유형별 주거만족도 영향력 차이 비교 및 해석 118Ⅵ. 결 론 125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125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128참 고 문 헌 130ABSTRACT 141[부록 1]설문지 145[부록 2]주거급여제도 관련전문가 1:1 인터뷰 결과 153표 목 차<표 2-1> 주거급여제도 지급의 원칙 10<표 2-2> 주거급여제도와 타 지원사업과의 관계 12<표 2-3> 주거급여제도 수급권자의 거주유형 14<표 2-4> 주거급여제도 수급권자의 거주유형별 현황 및 비율(2016년 기준) 15<표 2-5> 주거급여제도 임차급여 지원 금액(2017년) 20<표 2-6> 미국 주택도시개발부(HUD) 예산에서 차지하는 주거급여제도 예산 비중 23<표 2-7> 임대료보조 기준표 예시 25<표 2-8> 프랑스 주거비 보조 수혜가구 비율 변화 26<표 2-9> 영국, 독일, 프랑스, 미국의 주거비 보조 제도 비교 27<표 2-10> 공공임대주택 주거만족도 관련 연구 34<표 2-11> 민간임대주택 주거선택 및 주거만족도 관련 연구 36<표 2-12> 주거급여제도 관련 연구 38<표 3-1> 선행연구 검토 및 전문가 1:1 인터뷰를 통한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44<표 3-2> 최종 선정된 독립변수 및 조작적 정의 48<표 3-3> 설문지 항목 52<표 3-4> 거주주택특성을 위한 설문지 구성항목 및 내용 52<표 3-5> 주거복지특성을 위한 설문지 구성항목 및 내용 53<표 3-6> 주거만족도 설문항목 및 내용 53<표 4-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58<표 4-2> 현 거주주택 계속 거주 의향 60<표 4-3> 현 거주주택에서 계속 거주하지 않으려는 이유 61<표 4-4> 임대유형 64<표 4-5> 현 거주주택 불만족 이유 67<표 4-6> 현 거주주택 만족 이유 70<표 4-7> 월세부담 정도 72<표 4-8> 현 거주지 만족도 74<표 4-9> 주거급여제도 만족도 77<표 4-10> 계속 거주의향 80<표 4-11> 거주기간 83<표 4-12> 현 거주주택 불만족 이유 85<표 4-13> 현 거주주택 만족 이유 86<표 4-14> 월세부담 87<표 4-15> 현거주지 만족도 88<표 4-16> 주거급여 금액 만족도 89<표 4-17> 계속 거주의향 90<표 4-18> 거주기간 91<표 4-19> 주거선택 중요도 차이 93<표 4-20> 주택입지 중요도 94<표 4-21> 주택시설 중요도 95<표 4-22> 거주환경 중요도 96<표 4-23> 주거생활지원 중요도 97<표 4-24> 주거정착기회 중요도 98<표 4-25> 주거급여제도 중요도 99<표 4-26> 독립변수의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102<표 4-27> 종속변수의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103<표 4-28> 상관관계분석 105<표 4-29> 공공임대주택 거주자 그룹의 연구모형 및 가설검증 결과 107<표 4-30> 민간임대주택 거주자 그룹의 연구모형 및 가설검증 결과 109<표 4-31> 영구임대주택 거주자 그룹의 연구모형 및 가설검증 결과 111<표 4-32> 국민임대주택 거주자 그룹의 연구모형 및 가설검증 결과 112<표 4-33> 매입임대주택 거주자 그룹의 연구모형 및 가설검증 결과 113<표 4-34> 공공 및 민간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영향력 순위 비교 11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