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9
< 목 차 >국문초록 ⅰ목 차 ⅲ표 목 차 ⅵ그림목차 ⅶ제 1 장 서 론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2. 선행연구 고찰 및 동향 41.3. 연구의 대상 및 방법 71.4. 연구의 흐름 8제 2 장 협동조합주택과 커뮤니티공간2.1. 협동조합주택에 관한 이론적 고찰 92.1.1. 협동조합의 정의 112.1.2. 협동조합주택의 개념 112.1.3. 협동조합주택의 발전과정 132.1.4. 국내 협동조합주택의 유형 및 현황 142.1.5. 협동조합주택의 특징 182.2. 커뮤니티공간에 관한 이론적 고찰 202.2.1. 커뮤니티의 의미 202.2.2. 커뮤니티의 구성요소 222.2.3. 커뮤니티공간의 개념 232.2.4. 커뮤니티공간의 기능 및 특성 242.3. 협동조합주택에서 커뮤니티공간의 특성 고찰 262.3.1. 커뮤니티공간의 건축구성요소 도출 262.3.2. 커뮤니티공간 건축요소의 특성 26(1) 접근성 26(2) 연계성 27(3) 교류성 272.3.3. 커뮤니티공간의 개념 28(1) 거주민전용 커뮤니티공간 28(2) 교류형 커뮤니티공간 29(3) 오픈형 커뮤니티공간 29제 3 장 협동조합주택의 사례 분석3.1. 협동조합주택의 사례선정 및 분석 방법 303.1.1. 사례선정 기준 303.1.2. 사례 분석방법 313.1.3. 사례 분석의 틀 333.2. 협동조합주택의 사례 분석 343.2.1. 성산동 소행주 1호 343.2.2. 성산동 소행주 2호 383.2.3. 은평 구름정원 사람들 423.2.4. 가양동 이음채 주거협동조합 463.2.5. 만리동 예술인 주택조합 503.2.6. 강북 푸른마을 주택협동조합 543.2.7. 도봉 은혜공동체 주택협동조합 58제 4 장 협동조합주택에서 나타나는 커뮤니티공간의 특성 분석4.1. 협동조합주택의 커뮤니티공간 구성 특성 624.1.1. 접근성 624.1.2. 연계성 654.1.3. 교류성 674.1.3. 소결 694.2. 협동조합주택에서 커뮤니티공간 형성의 특성 704.2.1. 저층부 공유를 통한 사회적 교류 형성 704.2.2. 연계정도에 따른 커뮤니티공간 계획 704.2.3. 공동체 성격의 다양성을 지원하는 공간 형성 71제 5 장. 결 론결론 및 향후 연구 진행 방향 72참고문헌 74부록 <설문지> 76ABSTRACT 8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