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33
국문초록 ⅰ표 차례 ⅶ그림 차례 ⅸⅠ.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3Ⅱ. 분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 61. 주거복지정책에 대한 이해 61.1 주거복지정책의 이해 61.2 주거기본법의 지위 71.3 주거복지정책의 변천 91.4 주거복지정책 현황 122. 경로변화에 대한 이해 142.1 경로의존(Path Dependence) 152.2 경로진화(Path Evolution) 172.3 경로창조(Path Creation) 183. 다중흐름모형에 대한 이해 194. 선행연구 고찰 및 차별성 234.1 선행연구고찰 234.1.1 공급지원측면의 선행연구 고찰 234.1.2 수요지원측면의 선행연구 고찰 244.1.3 제도변화측면의 선행연구 고찰 244.1.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28Ⅲ. 연구의 분석모형 291. 분석모형 291.1 모형의 구성 291.2 모형의 선행연구 사례검토 312. 구성요소 342.1 정책변동모형의 내·외부적 장벽요인 342.2 다중흐름모형의 흐름요인 362.3 정책혁신가와 정책 산출 38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41Ⅳ. 정책수혜 대상 집단의 정책변동과정 분석 431. 정책변동에 대한 내·외부적 장벽요인 분석 431.1 내부적 장벽요인 431.1.1 국토교통부의 실행조직 431.1.2 관련법률 제·개정 현황 471.1.3 1·2차 장기 주택종합계획 491.2 외부적 장벽요인 571.2.1 인구 및 가구의 변화 571.2.2 주거에 대한 국민의식 변화 602. 다중흐름모형의 세 가지 흐름 분석 622.1 문제의 흐름 632.1.1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 632.1.2 저소득층의 주거불안 문제 662.1.3 보금자리주택 정책의 문제 692.2 정치의 흐름 712.2.1 2010년대 복지국가 논쟁 712.2.2 2012년 총선과 대선 732.3 정책대안의 흐름 762.3.1 각 분야별 정책대안 762.3.2 정부의 정책대안 793. 정책 산출(정책의 창과 흐름의 결합) 893.1 정책의 창과 정책혁신가 893.2 정책 산출 89Ⅴ. 분석결과 951. 정책에 대한 분석결과 952. 분석모형에 대한 분석결과 101Ⅵ. 결론 1021. 연구의 요약 1022. 정책적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110참고문헌 114영문요약 12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