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조혜진 (홍익대학교, 홍익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맹필수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홍익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86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오늘날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지역 커뮤니티는 해체되었고 이로 인해 생기는 각종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와 서울시는 마을공동체의 회복과 활성화를 위한 조례를 수립하였고 지역 커뮤니티 회복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였다. 따라서 현대의 지역 커뮤니티 거점 역할을 하는 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이 주목받게 되었는데 특히 가까운 곳에서 자연을 느끼고 싶어 하는 도시인들의 바람과 결합하며 자연 속에 도서관을 짓는 흐름이 증가하였다. 또한 최근에 서울시가 공원 내 책 쉼터 조성 추진계획안을 발표하면서 공원 속 도서관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원 속 도서관의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 그리고 자연과 도서관의 연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자연과 공공도서관의 연결 가능성을 고찰하고 국내에서 최근 5년 이내에 설립된 공원 내의 도서관을 사례로 선정하여 자연환경과 결합된 공원 속 도서관의 계획 요소와 공원과 도서관의 연결방안, 공원에 있어 생기는 도서관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이후 계남근린공원을 대상지로 선정하였고 대상지 현황을 분석하여 대상지 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도출하고 지역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 또한 고려하였다. 경사진 대지를 활용해 모든 레벨에서 공원과 연결하여 언제든지 책을 읽다가 산책을 나갈 수 있고 산책을 하다가 들어와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하여 지역 주민들이 도심 속에서 벗어난 주민들의 휴식처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본 연구는 공원 속 도서관의 계획 요소와 공원과 도서관의 연결방안, 공원에 있어 생기는 도서관의 역할을 살펴보고 이를 적용해 지역 주민들의 커뮤니티 거점으로서 도서관을 넘어서 자연 속 휴식처 역할을 할 수 있는 새로운 공원 속 도서관을 제안하고자 한다.

목차

제 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제 2장 이론적 고찰 4
2.1 커뮤니티 이론적 고찰 4
2.1.1 지역 커뮤니티의 개념 4
2.1.2 커뮤니티 도서관 5
2.1.3 커뮤니티 도서관 공간 구성 5
2.2 공원 속 도서관 7
2.2.1 공원 속 도서관의 기능 및 역할 7
2.2.2 공원 속 도서관 현황 8
2.2.3 공원 속 도서관 설치기준 9
2.3 선행연구 고찰 10
제 3장 국내 사례 조사 및 분석 13
3.1 사례 선정의 배경 및 범위 13
3.2 사례 분석
3.2.1 광교푸른숲도서관 14
3.2.2 역곡도서관 20
3.2.3 내를 건너서 숲으로 도서관 24
3.2.4 성동구립 숲속도서관 28
3.2.5 배봉산 근린공원 숲속도서관 33
3.3 사례 종합 분석 37
3.4 소결 39
제 4장 대상지 현황 조사 및 분석 41
4.1 계남근린공원 41
4.1.1 계남근린공원 개요 41
4.1.2 계남근린공원 현황 분석 42
4.2 계획 대지 현황 50
4.2.1 계획 대지 선정 이유 50
4.2.2 계획 대지 현황 분석 51
제 5장 건축 계획안 56
5.1 계획 방향
5.1.1 스페이스 프로그램 56
5.1.2 매스 프로세스 58
5.1.3 공원 접근 및 연계 계획 59
5.2 계획안
5.2.1 프로그램 조닝 61
5.2.2 서가 및 열람석 배치 65
5.2.3 조감도 및 투시도 68
5.2.4 모형 사진 71
5.2.5 건축 개요 및 도면 73
5.2.6 패널 86
제 6장 결론 88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