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17
제1장 서 론 1제1절 연구의 목적 1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1. 연구의 범위 22. 연구의 방법 2제2장 건축협동조합의 커뮤니티 주거와 디자인 4제1절 협동조합의 고찰 41. 협동조합의 사회적 의미와 선행 사례 42. 협동조합과 주거공간의 커뮤니티 53. 협동조합과 일반적인 주거공급의 차이점 7제2절 해외 건축협동조합의 선행 사례 81. 이탈리아 건축협동조합 안살로니 102. 일본의 코퍼레이티브 주택 11제3절 국내 건축협동조합의 선행 사례 131. 코비즈건축협동조합 152. 도심의 협동조합주택 소행주 163. 국내외 커뮤니티형 주거단지의 시행 사례 비교 174. 협동조합과 소규모 주거단지의 발전 195. 건축협동조합의 발달과 주거안정 21제3장 커뮤니티의 환경요소와 친밀도의 관계성 22제1절 커뮤니티 형성의 구성요소 221. 커뮤니티의 형성의 요소 222. 커뮤니티의 공간 요소 24제2절 친밀도를 위한 관계성 271. 관계성을 위한 규모의 고찰 272. 관계성을 위한 주거공간의 규모 28제3절 소규모 이웃 관계를 위한 장소적 역할 301. 이웃 관계의 국내사례 302. 이웃 관계의 친밀도 인터뷰 333. 수평적 구조에 의한 수직적 구조의 관계성 회복 36제4장 커뮤니티형 주거공간 디자인 40제1절 디자인 Concept 401. 디자인 방향 402. 디자인 개념 40제2절 대상지 선정과 개요 421. 대상지 선정 422. 대상지 현황 443. 대상지 분석 47제3절 커뮤니티형 주거공간 디자인 491. 주거공간 디자인 개요 492. 배치와 플랫 커뮤니티 (Flat Community) 513. 계획 도면 54제5장 결 론 64참 고 문 헌 66ABSTRACT 6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