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목판화운동의 배경
3. 노신과 목판화
4. 1930년대 목판화운동의 전개와 목판화의 양상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1930년대 중국의 목판화운동」에 대한 질의(이주형)
이주형 선생님의 질의에 대한 답변(박은화)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30~40년대 중국목판화에 미친 서구미술의 영향
미술사연구
2004 .12
버사 럼(Bertha Lum)의 목판화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8 .07
1950년대 일본의 탄광노동자 화가 센다 우메지(千田梅二) : 땅 밑의 빛나는 사람들
인물미술사학
2012 .12
中國美術의 흐름
미술사논단
2004 .06
중국 현대 미술의 문화적 전환 : 중국 현대 예술에 있어 중국본토 문화자원의 이용에 대하여
현대미술학 논문집
2006 .12
[특집 03] 중국 ‘정치 팝 아트(政治波普藝術)’의 형성과 전개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2 .06
[특집 04] 경계에 선 정체성 : 개혁개방 이전과 이후의 중국 조선족 미술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2 .06
『佛說大目連經』의 成立經緯 再考와 版畵의 圖像
미술사학
1998 .12
목판화 기법을 활용한 carbon board용 pattern design과 interior 장식재로서의 적용 가능성 분석
한국결정성장학회지
2011 .01
Movement
International Invitation Exhibition of Color Works
2015 .11
파리 근대사회, 근대미술, 호쿠사이(葛飾北齋)와의 만남 : 자연에 대한 경의
미술사연구
2009 .12
20C초 섬유 산업에 기여한 예술가들에 대한 연구 -1900년에서 1925년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997 .01
高麗初雕大藏經의 〈御製秘藏詮〉 版畵 : 高麗初期 山水畵의 一硏究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1986 .06
A Study of an Artist's Self-Development
예술과 미디어
2008 .01
1950년대의 한국미술(1), 제1공화국 미술의 태동과 진통
미술사논단
2015 .06
전 지구화 시대의 중국 현대미술과 비평 : 우흥의 ‘실험적인 예술’ vs. 가오밍루의 트랜스 내셔널 ‘아방가르드’
현대미술사연구
2011 .06
전람회 시대 : 『京城日報』(1906~1945)의 미술자료
미술사논단
2014 .06
그룹 운동을 통해 본 년대 1960-1970 프랑스 미술의 정치성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10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