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서울행정학회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8권 제3호
발행연도
2007.11
수록면
61 - 92 (3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is intended to analyse the conditions, the promises, and the pitfalls of rational procedures, by focusing on policy value conflicts around "the development" and "the conservation". We found that when the whole policy procedure was rationally proceeded in terms of institutionalized dialogue and critics among stakeholders, the openness and fairness of the policy procedures, it could produce various positive outcomes such as the reduction of policy errors, the social cost saving, the cognitive experience of democracy, policy-oriented learning, and eventually social consensus. On the other hand, if the policy procedure was not able to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the policy process was proved to be drifted and disturbed for a long time with severe value and interest conflicts among stakeholder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adequate level of procedural rationality in a policy process should be required to guarantee the expected policy outcomes with social consensu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절차적 합리성의 성과
Ⅳ. 절차적 합리성의 한계와 함정
Ⅴ. 종합과 논의 - 사회적 합의의 성과
Ⅵ.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350-016138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