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大興寺 法身中圍會三十七尊圖의 形式 및 樣式的 特徵
Ⅲ. 大興寺 法身中圍會三十七尊圖의 所依經典과 金剛界曼茶羅
Ⅳ. 大興寺 法身中圍會三十七尊圖의 製作背景
Ⅴ. 맺음말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道岬寺 觀世音菩薩三十二應幀의 圖像 硏究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03 .12
朝鮮前期 金線描阿彌陀三尊圖一例
미술사연구
2008 .12
1628年 七長寺 〈五佛會掛佛圖〉硏究
미술사논단
2006 .12
불화 속 여인들의 머리형태에 관한 고찰- 서사적 내용 속의 여인들을 중심으로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2014 .01
조선 전기 불화의 서사적 표현, 佛敎說話圖
미술사논단
2005 .12
고려 중기의 북송과의 회화 교류
미술사논단
2019 .12
죽화(竹畵)의 유형과 분류체제의 정립을 위한 시론
미술사논단
2018 .12
藹春 申命衍의 繪畵
미술사연구
2007 .12
고려 초기 회화의 조명
미술사논단
2019 .06
근대기 지방화단 연구 : 서울화단과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09 .12
회화의 위기, 회화의 대안
미술이론과 현장
2004 .01
개화기 화단의 신경향과 잡화병
미술사논단
2008 .12
조선 후기 남종화풍 문인산수화의 모방과 창작 : 화보의 분류 체계와 그 수용
미술사논단
2016 .06
高麗佛畵의 변죽 : 本地, 畵幅, 奉安에 대한 問題
미술사논단
2012 .06
화문과 화제의 분류체제
미술사논단
2018 .06
19세기 「朝鮮書畵傳」을 통해 본 韓日 繪書交流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2 .03
명대 궁정화조화의 원형과 새로운 화풍
미술사연구
2012 .12
부여 무량사 극락전 아미타삼존후불도 연구
불교미술사학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