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대한건축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제27권 제1호
발행연도
2007.10
수록면
85 - 88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attribute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evaluation methodology with new items and analysis methods. At first,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classified evaluation items into objective and subjective aspects, and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aspect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major factors. Then, this research compar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xisting evaluation methods with that of the alternativ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environmental attributes, balcony size, livingroom size and master bedroom siz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24-25 pyong-sized apartment residents' satisfaction. House deterioration was identified as the main factor of 32-35 pyong-sized apartment residents' satisfaction. Second, in personal characteristics, change of number of bedroom per person by move gave large impa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Third, qualitative aspect of indoors and convenience of dining room and kitchen are major factors affecting dwellers in order.

목차

Abstract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평가방법
3. 주거환경 특성의 주거만족 영향요인
4. 거주자 특성의 주거만족 영향요인
5. 거주자의 주관적 평가
6.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540-014922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