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반종교 담론의 등장과 전개
3. 개신교의 과학 담론
4. 맺음말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종교와 과학’, 그리고 ‘종교학’
종교문화연구
2009 .12
과학기술학(STS)의 관점에서 본 종교와 과학 : 과학적 사실과 종교적 가치의 만남에 관한 연구
신학연구
2018 .12
종립사학과 학문의 자유
종교문화연구
2009 .06
불교와 종교학
불교학연구
2007 .01
종교와 과학 담론의 문명사적 함의 : 화이트헤드의 종교와 과학을 중심으로
신학논단
2017 .03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 선교사들의 한국종교 이해
한국기독교와 역사
2003 .08
과학과 종교의 갈등
창조론오픈포럼
2009 .08
과학과 종교에서 본 시간과 자아
신학과세계
1998 .06
The New Religions in Korean Society
Korea Journal
1980 .02
종교학이란무엇인가(What is the science of Religion?)
신학지남
1933 .09
종교와 과학의 대화 : 동아시아 문명의 맥락에서
신학연구
2014 .06
현대 기독교 신학자들의 종교와 과학 담론
종교연구
2011 .09
중국문화 연구에서 ‘종교’를 다루기 위한 선행적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14 .12
Non-Western Religion
Korea Journal
1967 .02
New Religions and Social Change in Modern Korea History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02 .06
한국 종교정책의 진단과 과제 : 문화체육관광부의 종무실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2011 .12
한국 종교교단 연구의 현실과 과제
종교연구
2013 .03
한국 종교학 방법론의 과제와 전망
종교연구
2013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