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만주, ‘왕도낙토’의 이데올로기를 넘어서
Ⅱ. ‘유랑의 종족’들의 정체성에 대한 탐색
Ⅲ. 전설과 노래를 통한 ‘기억’의 재구성
Ⅳ. 고대적 기억의 회상과 슬픔의 계보학
Ⅴ.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말 · 일제하 한국인의 만주 인식
동방학지
2008 .01
일제말기 김남천 문학과 만주- 미지와 공백의 기표
한국문학논총
2008 .01
滿洲事變 前後 在滿朝鮮人 問題와 그들의 困境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01 .06
해방이후 시에 재현된 만주의 기억
우리문학연구
2019 .01
재만 친일 조선인의 만주(국) 인식
동북아역사논총
2006 .08
한중 근대소설과 만주 : 소설에 투영된 중국인과 조선인 형상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2013 .06
식민지 시대 아동문학 작품에 나타난 만주 체험의 형상화
국어교육연구
2007 .02
창과 방패의 딜레마: 1929년 제3회 IPR회의의 만주 논쟁
중국사연구
2015 .01
The Educational World of Joseon People Living in Manchuria during Japanese Imperialism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09 .03
'새로운' 마을의 계보 만들기 : 개혁개방 이후 조선족 소설이 "만주"를 구성하는 방식
현대소설연구
2014 .04
1930년대 재만조선인, 이등국민론의 비판적 성찰 : 교육정치사의 관점과 사례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15 .06
1920年代 滿洲 지방에서의 民族敎育運動
한국독립운동사연구
1988 .11
일제 강점기 재만 조선시인의 시세계 연구
비평문학
2018 .12
일제강점기 "재만한인소설(在滿韓人小說)"을 통해 본 "만주"의 문제
현대소설연구
2006 .09
일제시기 ‘만주’ 개념의 역사성과 부정성
석당논총
2010 .01
만주 담론과 이기영 소설의 변화
어문학
2007 .09
만주국 기행문학 연구
어문학
2004 .12
「만주국」 조선인의 ‘皇國臣民’觀 : 1930년대 후반을 중심으로
역사와경계
2009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