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는 말
2. 연구배경
3.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4. 공포영화의 장르 관습의 변화
5. 맺는 말 : 공포영화의 변화된 관습과 사회문화적 함의
〈참고문헌〉
Abstar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글로벌 배경 하에서 중국 영화산업 발전 추세
아시아리뷰
2013 .06
관객은 허구에 불과한 공포영화의 괴물을 왜 무서워하는가?
미디어, 젠더 & 문화
2013 .06
공포 영화의 사회학
초등우리교육
1999 .07
영원히 끝나지 않기를 바랐던 영화
관훈저널
2019 .09
영화가 이긴다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7 .11
국가별 흥행영화 소비구조의 특성
한국언론학보
2003 .06
네티즌과 영화 평론가의 영화 평가 결정 요인 비교
한국방송학보
2008 .11
인터넷 영화와 예술변형 : 인터넷 영화의 장르유형과 진화 방향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006 .12
How to make a Monster in Thai Horror Film:A Reflection of Culture and Society
동남아연구
2011 .01
지역영화의 위기 요인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부산독립영화를 중심으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010 .08
1990년대 한국 영화장르의 문화적 정당화 과정 연구 영화장의 구조변동과 영화 저널리즘의 역할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2005 .05
국내외 흥행 영화소비 집중도 결정 요인 : 1974~2003
한국언론학보
2005 .12
한국의 디지털영화산업과 글로벌비즈니스 전략제고
e-비즈니스연구
2010 .06
2000년대 한국영화 장과 여성 영화감독
문화와 사회
2018 .08
영화교육
한국언론학보
1969 .01
1990년대 중반 이후 프랑스의 ‘사회적 영화’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012 .11
특별활동-영화, 영화반으로 가는 길
중등우리교육
1993 .11
영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추정
산업혁신연구
201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