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문제제기
2. 인간배아복제연구의 윤리논쟁과 공중의 과학이해
3. 공중의 과학이해 (1) : 언론보도의 특징
4. 공중의 과학이해 (2) : 인터넷 공론의 특징
5. 맺는 말 : 생명윤리논쟁의 한계와 향후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자들의 인식조사
생명윤리
2006 .06
무대 위의 과학 : 2004 배아줄기세포 논란을 중심으로 본 윤리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학연구
2005 .12
생명윤리와 소통(疏通)의 문제 : 황우석 스캔들에서 얻은 교훈
생명윤리
2007 .06
人間胚芽複製의 問題點과 解決方案 : 生命倫理法의 改善方案을 中心으로
생명윤리
2005 .06
인간배아연구윤리강령 개발에 관한 연구
생명윤리
2005 .06
생명윤리의 정언적 성격에 대한 재인식
생명윤리
2006 .12
황우석 사태에서의 윤리적 쟁점의 변화 : 배아윤리에서 난자윤리로
생명윤리
2006 .12
배아줄기세포
과학과 기술
2006 .01
한국의 생명복제 논쟁
생명윤리
2002 .05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
생명, 윤리와 정책
2017 .04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대중의 태도형성에 기독교가 미친 영향
과학기술학연구
2013 .12
줄기세포에 대한 윤리적ㆍ법적 논쟁의 변화
생명윤리
2012 .07
규제에서 소통으로 :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변화에 관한 제언
생명, 윤리와 정책
2017 .10
배아줄기세포연구와 젠더 : 난자제공과 여성의 노동 및 참여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2007 .04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생명, 윤리와 정책
2017 .04
무대 위의 과학 : 배아줄기세포 논란을 중심으로 본 윤리 커뮤니케이션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04 .12
생물학적 정체성 : 면역작용과 생명세포의 일체성
생명윤리
2002 .12
배아줄기세포를 둘러싼 기대역학 : 세포응용연구사업단 설립과정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학연구
2008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