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논문요지
Ⅰ. 서론
Ⅱ. 줄기세포에 대한 이해
Ⅲ.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의 허용성에 대한 논란
Ⅳ.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에 따른 계약법적, 책임법적 문제
Ⅴ. 결론
〈Abstract〉
대법원 2007. 5. 31. 선고 2005다5867 판결
[1] 의료행위는 고도의 전문적 지식을 필요로 하는 분야로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으로서는 의사의 의료행위의 과정에 주의의무 위반이 있는지의 여부나 그 주의의무 위반과 손해 발생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밝혀내기가 극히 어려운 특수성이 있으므로, 수술 도중 환자에게 사망의 원인이 된 증상이 발생한 경우 그 증상 발생에 관하여 의료상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6. 11. 23. 선고 2005다11688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2. 10. 25. 선고 2002다48443 판결
[1] 일반적으로 의사는 환자에게 수술 등 침습을 과하는 과정 및 그 후에 나쁜 결과 발생의 개연성이 있는 의료행위를 하는 경우 또는 사망 등의 중대한 결과 발생이 예측되는 의료행위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응급환자의 경우나 그 밖에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진료계약상의 의무 내지 위 침습 등에 대한 승낙을 얻기 위한 전제로서 당해 환자나 그 법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5. 4. 29. 선고 2004다64067 판결
[1] 의사가 진찰·치료 등의 의료행위를 함에 있어서는 사람의 생명·신체·건강을 관리하는 업무의 성질에 비추어 환자의 구체적인 증상이나 상황에 따라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최선의 조치를 취하여야 할 주의의무가 있고, 환자에 대한 수술은 물론, 치료를 위한 약품의 투여도 신체에 대한 침습을 포함하는 것인 이상 마찬가지 주의의무가 요구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0. 10. 10. 선고 2000다32055,32062 판결
임대주택법 및 같은법시행령에 의하면 임대사업자가 임대주택에 대한 임대차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임대보증금, 임대료, 임대차계약기간 등`이 기재된 표준임대차계약서를 작성하여야 하고(같은 법 제18조 제1항, 제2항), 위 임대조건에 관한 사항(변경내용 포함)을 관할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하며(같은 법 제16조 제1항, 제3항,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3. 7. 27. 선고 92다15031 판결
가. 의사의 척추전방유합수술 후에 나타난 환자의 하반신 완전마비증세가 의사의 과실로 인하여 초래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 사례.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8. 12. 13. 선고 85다카1491 판결
의사가 환자에게 부담하는 진료채무는 질병의 치유와 같은 결과를 반드시 달성해야 할 결과채무가 아니라 환자의 치유를 위하여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를 가지고 현재의 의학수준에 비추어 필요하고 적절한 진료조치를 다해야 할 책무 이른바 수단채무라고 보아야 하므로 진료의 결과를 가지고 바로 진료채무불이행사실을 추정할 수는 없으며 이러한 이치는 진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2. 11. 26. 선고 2000다52042 판결
[1] 구 주택건설촉진법(1995. 12. 29. 법률 제510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2조 및 이에 따른 구 주택공급에관한규칙(1995. 11. 6. 건설교통부령 제3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6조 제4항은 사업주체가 아파트인 분양주택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중도금을 옥상층의 철근배치가 완료된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2. 10. 12. 선고 81도2621 판결
사람의 생명과 신체의 안전을 보호법익으로 하고 있는 형법상의 해석으로서는 사람의 시기는 규칙적인 진통을 동반하면서 태아가 태반으로부터 이탈하기 시작한 때 다시 말하여 분만이 개시된 때(소위 진통설 또는 분만개시설)라고 봄이 타당하며 이는 형법 제251조(영아살해)에서 분만 중의 태아도 살인죄의 객체가 된다고 규정하고 있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1. 11. 9. 선고 2001다52568 판결
[1] 민법 제163조 제2호 소정의 `의사의 치료에 관한 채권`에 있어서는, 특약이 없는 한 그 개개의 진료가 종료될 때마다 각각의 당해 진료에 필요한 비용의 이행기가 도래하여 그에 대한 소멸시효가 진행된다고 해석함이 상당하고, 장기간 입원 치료를 받는 경우라 하더라도 다른 특약이 없는 한 입원 치료 중에 환자에 대하여 치료비를 청구함에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생명공학기술의 특허법적 보호와 전망
과학기술법연구
2013 .01
미국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규제 동향
홍익법학
2015 .01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구의 정당성과 관리감독체계 -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의 입법 동향을 중심으로 -
원광법학
2010 .01
인간 배아 연구의 윤리 : 인간 줄기세포 연구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2002 .09
The convergence effect of medical industry through stem cell implant treatment
융합정보논문지
2018 .01
생명윤리법의 세계화에 관한 연구배아줄기세포 연구에 관한 법적 규제를 중심으로
외법논집
2007 .01
개정생명윤리법에 따른 줄기세포연구의법적 쟁점
법학논집
2012 .01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연구 규제와 불특허사유
비교사법
2008 .12
커뮤니케이션과 과학이해 : 배아줄기세포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4 .12
미국의 생명공학연구 규제입법의 헌법적 함의
공법학연구
2013 .05
Patenting Embryonic Stem Cell Inventions in Europe : Resolving Tensions between Law, Morality and Regulation
비교사법
2007 .09
인간배아 줄기세포 연구결과물 : 인간성과 특허성의 병존 모색
법학연구
2004 .12
영국의 배아관리체계와 공공정책의 선택
보건행정학회지
2004 .01
인간배아복제의 정당성에 관한 법적 쟁점
법학연구
2014 .05
인간 배아 보호를 위한 법정책에 관한 고찰
형사정책연구
2002 .09
생물수업을 위한 신문자료 활용방안
생물교육
2002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