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고성진 임영환 (홍익대학교)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대한건축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제28권 제1호
발행연도
2008.10
수록면
157 - 160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ccording to this study, common space bas been changed from the concept of private possession to the concept of group or total possession in modem times as elements which were used for private space in the past has been changed to common space as it has approached in modem times. This plays a role that unsociable past residing style can be opened, and at the same time, the possibility of becoming familiar between residents, and this becomes the driving force that fills social role that private part in building has not taken charge of by sparing a part of private space in the past, and at the same time, that promotes the exchange between neighb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finition and the necessity of common space targeting on housing complexes in modern times, and how it develops, and at the same time, to analyze how common space is divided, and what role it plays with some cases. With this common space in modem times,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that can improve the design quality including the value of housing complexes brand, and create various community cultures.

목차

Abstract
1. 서론
2. 공유공간에 대한 정의와 전개양상
3. 공유공간의 유형과 특성
4. 새로운 공유공간의 공간구성에 따른 효과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0-540-001663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