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2. 관객의 정의와 분류
3. 관객에 대한 의심과 믿음
4. 영화관객에 대한 세 가지 시선
5. 새로운 관객연구들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영화관객 연구: 인터넷 시대의 관객 능동성 : 〈워낭소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2012 .06
텍스트의 변화 : 산업과 관객의 상호텍스트적 관계
영화연구
2004 .06
Analysis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dience of a Dance Performance
대한무용학회논문집
2016 .01
한국 예술영화 담론의 흐름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2013 .03
캐릭터 관계 기반의 비주얼스토리텔링 공간 분석 : 영화 아바타를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11 .04
다큐멘터리영화의 관객소통 방식 연구 : 〈워낭소리〉, 〈우리학교〉, 〈송환〉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2011 .12
영화제작에서의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영상기술연구
2011 .12
영화 <아바타>의 흥행 요인 분석 : 상호텍스트성 개념을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14 .12
1960년대 한국영화와 ‘근대적 국민’ 형성과정 : 발전과 반공 논리의 접합 양상
영화연구
2007 .09
박스오피스 : 영화 경제와 시장 지배의 논리
영화연구
2006 .12
<디 오써>와 <나, 말볼리오>의 관객 참여 전략 연구
한국연극학
2019 .01
태권도공연 관람자의 확장된 계획행동과 공연관람의도 및 관람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
한국체육과학회지
2013 .12
디지털영화 ; 영화와 애니메이션의 사이공간에 관한 연구 : 영화 “아바타”분석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2012 .12
다큐멘타리〈신의 아이들〉의 사례로 본 비상업영화의 보급현황과 대안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2009 .03
입체영화 환경에서 고려해야 할 스토리텔링 유형 연구
영화연구
2011 .09
무용공연 관객의 몰입경험과 창조성(creativity)에 대한 연구
무용예술학연구
2008 .01
장르적 관점으로 본 S3D 영화의 성공전략
영화연구
2012 .12
1920~30년대 조선에서의 영화배급
영화연구
2009 .09
문화영화의 제도화 과정 : 1960-70년대 영화법과 관련 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2014 .03
한국형 발레의 작품가치가 관람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