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제1장 서론
제2장 로컬거버넌스로서 환경거버넌스의 이론적 배경 및 현황
제3장 환경거버넌스 평가 연구동향 및 사례
제4장 환경거버넌스 평가지표의 구성
제5장 환경거버넌스 평가지표의 도출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연구요약
머리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지방자치단체의 환경거버넌스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08 .05
민주적 로컬 거버넌스 구성과 지방정부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05 .11
지역문화관광축제의 로컬거버넌스를 위한 주체역할과 협력체계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008 .08
지역 환경거버넌스 역량 구축을 위한 과제의 우선순위 연구
환경정책
2009 .09
지역발전과 로컬 거버넌스 :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보
2005 .12
로컬 거버넌스와 주민의 정치참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05 .11
Studies on the Role of Central Governments and External Actors for Local Governance in Some Developing Countries
한국정책연구
2014 .09
마산시 도시재생사업 거버넌스의 특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08 .12
Local Environmental Governance for Economic Development : A Schenectady Case of Brownfield in New York
OUGHTOPIA
2009 .12
마을 만들기 거버넌스 특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 순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008 .12
Governance 실현을 위한 지방정부의 바람직한 모형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01 .04
수원시 환경수도(저탄소녹색도시)로의 전환과 환경 거버넌스
아세아연구
2012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