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Ⅰ. 한국사회의 기억현상
Ⅱ. 기억의 본질
Ⅲ. 역사의 본질
Ⅳ. 역사가와 기억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동아시아의 역사 갈등과 한국사회의 집단기억
역사학보
2008 .03
집단기억과 역사
역사교육
2003 .03
War and Memory in Korean History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04 .09
기억에 관한 기독교교육적 연구
기독교교육정보
2006 .12
로컬 기억과 기억의 정치-폴란드 에드바브네 유대인 학살 기억의 사례-
대구사학
2010 .01
Memory of the Day etc.
시조시학
2001 .09
Constructed Memory in Chinese Cinema: Narrating Emotion in Red Sorghum and In the Heat of the Sun
외국학연구
2020 .01
역사교육의 집단기억 만들기와 개인 사이의 간극 : 인터뷰 분석
역사교육
2018 .03
기억과 역사: 새로운 역사ㆍ문화이론의 정립을 위하여
韓國史學史學報
2003 .01
기억의 경쟁에서 기억의 연대로? : 홀로코스트와 프랑스 탈식민화 기억의 다방향적 접합
역사비평
2015 .11
Breaking the Seal of Memory : A New Perspective on Memory of the Korean War in Korean Novels1 after the Post-Cold War Era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06 .06
위안부 피해자 영상의 “포스트-기억 세대” 양식으로의 변화와 사회문화적 함의 읽기
인문논총
2018 .01
김원일 소설의 ‘기억’과 ‘회상’ 연구
우리문학연구
2013 .06
기억과 진실, 그리고 뇌: 인지심리학적 고찰
독일어문학
2009 .01
집단기억, 역사의식, 역사교육
역사교육
2009 .03
이병주 소설에 나타난 ‘식민지 기억’과 역사 다시 쓰기 : 『관부연락선』과 「변명」을 중심으로
어문론집
2013 .03
나치와 홀로코스트에 대한 독일 기억문화의 유형과 미래의 지속 가능한 기억문화
유라시아연구
2020 .01
통역사의 기억력 측정
번역학연구
2014 .12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역사기록과 문학적 재현의 서술방식 비교 고찰
우리말글
2009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