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李炳鎬 (국립중앙박물관)
저널정보
한국목간학회 목간과문자 목간과문자 창간호
발행연도
2008.6
수록면
49 - 91 (4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부여 陵山里寺址 중문지 남쪽과 서쪽에서는 40여 점의 목간이 출토되었다. 지금까지 능산리 출토 목간은 중문지 남서쪽의 초기 자연배수로에서만 출토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목간 출토지점에 관한 재검토 결과 중문지 동남쪽의 초기 자연배수로와 그보다 시기가 늦은 남쪽의 제2석축 배수시설에서도 출토된 것으로 드러났다. 대부분의 목간이 출토된 초기 자연배수로의 폐기 시기와 정비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능산리사지 가람 중심부의 정비 과정을 살펴보았다. 능산리사지에서 출토된 互當의 형식 분류와 상대편년, 건물지별 분포 상황을 분석한 결과 가람 중심부의 건물들은 강당지, 목탑지, 불명건물지Ⅱ가 1차로 건립되고, 금당지와 중문지, 회랑지가 2차로 건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동·서 회랑지 남쪽 끝부분에서 발견된 암거시설을 통해 동·서 대배수로의 정비, 즉 초기 자연배수로의 폐기가 가람 중심부에 1차 건물이 건립되고 나서 2차 건물이 들어선 시점에야 이루어졌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능산리사지의 講堂址는 이 사원에서 가장 먼저 건립된 건물로서 567년 목탑 건립 이전부터 능산리고분군의 祠堂과 같은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願刹이라는 능산리사지의 성격과 깊은 관련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목간이 폐기된 하한을 추정하기 위해 2002-1번 목간의 출토 상황에 주목하였다. <도면4>의 토층도와 와당 등의 공반유물을 불 때 이 목간은 금당지가 건립되거나 완성되고 회랑지가 건립되기 시작하던 6세기 후반 무렵에야 폐기된 것으로 생각된다. 목간 제작·사용의 상한 연대는 사원의 최하층에서 출토된 중국청자편과 벼루편 등을 통해 볼 때 6세기 중엽 정도로 생각된다. 그런 점에서 능산리 출토 목간은 554년 관산성 전투에서 성왕이 축은 사건 이후부터 567년 목탑이 건립되던 단계에 주로 제작·사용·폐기되었지만 일부 목간은 6세기 후반까지 제작·사용되다가 폐기된 것으로 생각된다. 능산리 출토 목간의 대부분이 567년 목탑 건립 전후에 폐기된 사실은 이들 목간이 능산리사지 초기 강당지에 있었던 어떤 시설과 밀접하게 관련됨을 알려주고 있다. 또 목간에 기록된 내용이 불교나 죽은 사람의 의례와 관련된 것, 물품의 생산지와 이동, 장부와 같은 것이 망라되어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능산리 출토 복간들은 능산리사지의 건립 과정에서 파생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8차 조사에서 발견된 2002-1번 4면목간의 경우도 능산리사지의 정비와 관련시켜 볼 필요가 있다. 목간의 적외선 판독 결과 1·2면의 支藥兒食米記와 3면의 道使 관련 기록은 작성 시기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2면은 支藥兒라는 어떤 건물이나 시설에서 쌀을 지급한 내역을 담은 帳簿이며, 3면은 1·2면에서 연속된 食米 관련 기록을 지운 다음 再使用한 2차 목간이고, 4면은 習書로 생각된다. 따라서 2002-1번 목간은 支藥兒라는 어떤 건물이나 시설에서 능산리사지의 건립에 동원된 지방민들에게 쌀을 지급한 내역을 기록한 중간 단계의 장부라고 할 수 있다. 2002-1번 목간과 300번, 306번, 310번 목간 등을 통해 불 때 능산리사지 일대에는 쌀과 같은 물품의 이동과 관련된 창고시설이나 행정조직이 존재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木簡 出土 狀況과 出土 位置
Ⅲ. 伽藍 中心部의 整備過程
Ⅳ. 木簡 發棄 時期와 性格
Ⅳ. 2002-1번 四面木簡의 分析
Ⅳ. 맺음말
참고문헌
<日文要約>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3-902-000484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