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金昌錫 (강원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목간학회 목간과문자 목간과문자 창간호
발행연도
2008.6
수록면
233 - 250 (1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일본 오사카시의 쿠와즈 유적에서 발견된 목간 1점은 일본 最古의 呪符木簡으로서 주목받아왔다. 하지만 그간에 판독과 해석에 문제가 많아 목간의 내용을 이해하고 용모를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비슷한 성격의 중국, 일본 목간은 ‘별자리 그림 - 도형화하거나 크게 쓴 글씨 - 原字形을 유지하거나 작게 쓴 글씨’의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비추어 보면, 이 목간은 ‘북두칠성의 星圖 - 북두칠성의 靈力 - 欠田里의 현실과 기원’에 관한 내용을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고대인들은 별에 대한 신앙을 갖고 있었으며, 백제인들도 日官部, 式占 등의 자료를 놓고 볼 때 예외가 아니었다. 해석에서 핵심이 되는 것은 세 구성 부분 중 마지막 부분을 위에서 아래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어나가는 방식과, ‘道章白加之’의 ‘白’을 人名이나 神名의 일부가 아니라 ‘사뢰다, 아뢰다’는 의미의 動詞로 파악한 것이다.
이 목간은 북두칠성에게 풍요를 기원하는 道敎 신앙의 단면을 보여주며, 특히 내용 구성상 도교의 祭文인 靑詞의 원형을 갖추고 있다. 쿠와즈 유적에서 출토된 壁柱建物, 韓式 土器와 더불어 이 목간은 도교적 문화요소도 百濟系 주민들에 의해 이 지역으로 유입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들은 7세기 전반에 풍요를 기원하는 도교식 제사에 관여하였고, 제사가 끝난 후 목간을 우물 가까이에 폐기했다. 이후 우물을 없앨 때 흙으로 메우면서 목간이 그 속에 딸려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形狀과 내용 구성
Ⅲ. 해석과 용도
Ⅳ. 맺음말
참고문헌
<日文要約>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3-902-000484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