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장지연의 역사지리 인식
3. 「白頭山定界碑考」와 『北輿要選』
4. 「白頭山定界碑考」에 나타난 간도 영유권 주장
5. 맺음말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Travel to Baekdusan and its Significance during the Joseon Period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0 .12
일제강점기 대종교인 成世英의 백두산 여행과 영토의식 : 「遊白頭山紀行錄」을 중심으로
역사와 담론
2012 .10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Baekdusan during the Late Period of Joseon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0 .12
한국의 북방 강역지지에 관한 고찰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1982 .11
張志淵의 變法論과 그 변화
한국사연구
2000 .06
중국·남북한의 백두산 연구와 귀속권 논리
한국사학보
2013 .05
The People of Joseon’s Perception of Baekdusan Viewed through Geographical Material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0 .12
古朝鮮의 疆域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1984 .08
Korean Intellectuals’ Perceptions of Baekdusan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Thereof : Focusing on Travelogues Produced during the 1920s and 1930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0 .12
考古學上으로 본 疆域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1984 .08
일제강점기 조선인 관료의 백두산 여행과 간도 인식 : 『백두산유람록』을 중심으로
장서각
2010 .10
張志淵
한국사 시민강좌
1992 .08
The Significance of Perceptions of Baekdusan in Baekdu-related Myth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0 .12
韋庵 張志淵의 儒敎觀에 대한 檢討 : 退溪學脈의 近代的 變容에 관한 一考察
철학연구
2004 .08
통감부 시기 대한제국의 간도문제 인식
역사와경계
2007 .12
백두산 관광을 통해 본 식민지 ‘진정성’의 구성 방식 : 1920-30년대 민태원, 최남선, 안재홍의 백두산 기행문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2017 .05
明代 疆域에 대한 청말 혁명파의 근대적 領土인식 : 『民報』에 나타난 영토적 공간인식을 중심으로
중국근현대사연구
2014 .09
白頭山定界碑 설치에 관한 연구
역사와실학
1996 .01
조기천 ?백두산? 연구의 선결문제
한국문학논총
200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