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문은영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저널정보
한국공공사회학회 공공사회연구 공공사회연구 第1卷 第2號
발행연도
2011.8
수록면
135 - 174 (4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9)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거주 한부모가족 800가구를 대상으로(여성한부모 542명, 남성한부모 258명) 전반적인 생활실태 및 정책수요를 조사하였다.
실태조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가 있는 한부모가족, 특히 부자가족이 가장 어려운 점으로 꼽는 것은 자녀양육의 문제로, 특히 친인척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자녀양육과 가사부담에 대해 공통적으로 어려움에 직면하는데, 양육 및 보육지원을 위한 다각도의 지원강화가 요구된다. 둘째, 한부모가족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경제적 어려움으로서 경제적 지원에 대한 정책수요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한부모가족의 필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지원은 1순위 생계비 지원, 2순위 양육 및 학비보조, 3순위 주거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경제적으로 취약한 남성한부모의 경우 취업상태가 불안정하여 무엇보다 자립기반 조성이 우선시된다. 셋째, 한부모가족의 한부모(싱글맘 혹은 싱글대디)뿐 아니라 그 자녀는 생활 하면서 정서적 어려움을 경험한다. 특히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심리적으로 위축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정도에 따라 상담에서 전문치료가 필요하다. 모자가족의 경우 시설이용자나 관계기관 등을 통해 상담치료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나, 부자가족의 경우에는 인식부족 등으로 이용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태조사에서도 여성 한부모가족에 비해 부자 가족이 한부모가족 된 후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가 서먹해졌다고 느끼는 비율도 더 높고, 소득이 적은 남성한부모가 향후 생활에 대해 더 비관적인 것으로 나타나는 점을 감안하여, 부자가족을 대상으로 한 찾아가는 맞춤형 상담지원 서비스 지원도 필요하게 된다. 또한 사회 전반적으로 가족의 변화와 다양한 가치관 수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을 위해 다각도의 인식개선 캠페인과 홍보 등 이 요구된다.

목차

요약
Ⅰ. 문제의 제기
Ⅱ. 서울시 부자가족 현황 통계분석
Ⅲ. 한부모가족 실태조사를 통해 본 부자가족의 생활실태 및 정책수요
Ⅳ. 실태조사 요약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