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요약
1. 문제제기
2. 다문화 담론과 국문학
3. 다문화 시대와 한국문학 연구 현황
4. ‘다문화인문학’ 구축과 로컬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적 문화와 문화적 다양성
청소년문화포럼
2001 .06
현대시조의 다문화 수용 양상 고찰 : 2015년 창작 작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학술대회
2016 .08
한국적 다문화인문학의 정립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학술대회
2013 .06
한국 제대로 배우기
관훈저널
2012 .12
한국에 있어서 문화국가 개념의 정립과 실현과제
문화정책논총
1994 .12
신'한국이 만드는 '쉰'한국
초등우리교육
1997 .04
로컬 문화콘텐츠 발전 전략방안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6 .04
한국 다문화 연구현황과 새로운 방향모색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원 학술대회
2011 .05
다문화교육이 대학생들의 다문화 인식에 미친 영향 조사
다문화콘텐츠연구
2008 .12
『한국적 다문화인문학의 정립』에 대한 토론문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학술대회
2013 .06
문화를 가르친다는 것은?
한국언어문화학
2012 .01
한국 다문화정책의 개선방안 : 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2 .02
"개념을 알고 가르쳐야 쉽다"
초등우리교육
1996 .04
정치적 관점에서 본 한국 다문화현상의 문제점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학술대회
2012 .05
한국 문학의 세계화 방안
문화정책논총
1994 .12
로컬푸드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9 .12
在日コリアンと多文化的市民権 : 「ひらかれた民族紐帯」の構築の可能性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국제학술회의
2007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