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조민정 (서울산업대학교) 박미정 (서울산업대학교) 이흠숙 (서울산업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식품과학회 한국식품과학회지 한국식품과학회지 제39권 제1호
발행연도
2007.2
수록면
77 - 82 (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쑥갓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쑥갓 총 메탄올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가지고 있는 총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클로로포름, n-부탄올 및 물 분획물을 제조하여 각각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pH가 1.5일 때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IC??값은 39 ppm으로 가장 우수한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보였으며,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IC??값이 15 ppm과 36 ppm일 때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양성대조군인 chlorogenic acid와 동등한 소거작용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활성을 나타낸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silica gel 컬럼크로마토그래피와 sephadex LH-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획의 활성성분인 compound Ⅰ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compound를 ¹H-NMR과 ¹³C-NMR spectral data를 통하여 구조를 동정한 결과 compound Ⅰ은 β-sitosterol-O-β-D-glucoside임을 확인하였다. Compound Ⅰ과 그 aglycone인 β-sitosterol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IC??값이 pH 1.5에서 각각 15 ppm과 36 ppm일때 compound Ⅰ의 IC??값이 335 ppm, β-sitosterol의 IC??값이 41 ppm으로 가수분해된 aglycone이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훨씬 높았다. SOD 유사활성의 경우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EC?? 값은 38 ppm, 449 ppm으로 이와 비교시 β-sitosterol과 배당체의 EC?? 값은 1,291 ppm과 2,000 ppm 이상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문헌

참고문헌 (2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3-573-000861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