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국내법상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법적 지위와 처우
Ⅲ. 유엔인권체제를 통한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 보호
Ⅳ.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을 통한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 보호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01. 10. 26. 선고 99다68829 판결
[1] 출입국관리법 제63조 제1항은, 강제퇴거명령을 받은 자를 즉시 대한민국 밖으로 송환할 수 없는 때에 송환이 가능할 때까지 그를 외국인 보호실·외국인 보호소 기타 법무부장관이 지정하는 장소에 보호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이 규정의 취지에 비추어 볼 때, 출입국관리법 제63조 제1항의 보호명령은 강제퇴거명령의 집행확보 이외의 다른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1. 11. 29. 선고 99헌마494 전원재판부
가.청구인들은 재외동포법 제2조 제2호만을 심판대상으로 적시하였으나, 재외동포법시행령 제3조는 재외동포법 제2조 제2호의 규정을 구체화하는 것으로서 양자가 일체를 이루어 동일한 법률관계를 규율대상으로 하고 있고, 시행령규정은 모법규정을 떠나 존재할 수 없으므로 이 사건의 심판대상을 동 시행령규정에까지 확장함이 상당하고, 정부수립이전이주동포를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6. 12. 7. 선고 2006다53627 판결
[1] 근로계약의 당사자가 분쟁이 발생하기 전에 대한민국 법원의 국제재판관할권을 배제하기로 하는 내용의 합의를 하였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합의는 국제사법 제28조 제5항에 위반하여 효력이 없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5. 12. 22. 선고 95누2050 판결
산업기술연수사증을 발급받은 외국인이 정부가 실시하는 외국인 산업기술연수제도의 국내 대상 업체에 산업기술연수생으로 배정되어 대상 업체와 사이에 상공부장관의 지침에 따른 계약서의 양식에 따라 연수계약을 체결하였다 하더라도 그 계약의 내용이 단순히 산업기술의 연수만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대상 업체가 지시하는 바에 따라 소정시간 근로를 제공하고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5. 11. 10. 선고 2005다50034 판결
[1]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는 그 계약의 형식이 민법상의 고용계약인지 또는 도급계약인지에 관계없이 그 실질면에서 근로자가 사업 또는 사업장에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하고, 그러한 종속적인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는 업무의 내용이 사용자에 의하여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제법상 이주노동자의 권리와 국내법제도 개선
원광법학
2008 .01
외국인근로자의 노동인권
노동법논총
2010 .04
Developmental State, Human Rights and Migrant Workers
Journal of Asian Sociology
2011 .07
[일반논문]외국인노동자와 인권 - '국가의 주권'과 '국민의 기본권' 및 '인간의 기본권'의 상충요소 검토 -
민주주의와 인권
2005 .10
이주노동자의 차별대우와 균등대우에 관한 법·제도와 현실 : 경산시 이주노동자의 사례
다문화와 인간
2017 .12
국내 이주노동자의 실태와 사회적 대응방안
비판사회정책
2002 .09
외국인 노동자의 법적보호
법학논총
2004 .02
이주근로자 인권보호에 관한 법제도운영과 개선방안
고려법학
2008 .01
이주노동자의 사회공간적 특성과 권리에 대한 연구
21세기정치학회보
2013 .12
중국 농민공 권익보호제도에 관한 소고
중국법연구
2012 .01
현행 고용허가제도의 인권침해적 요소와 인권보장 입법
노동법논총
2006 .06
이주노동자의 안전보건 불평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019 .06
한국 이주노동자의 위치 인식에 따른 정체성 변화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국제학술회의
2016 .01
이주근로자의 건강권보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원광법학
2010 .01
A Transnational Approach to the Integration of Migrant Workers : With Focus on the Korea’s Employment Permit System
Journal of Multicultural Society : OMNES
2017 .01
Legal Protection Measures for Filipino Overseas Migrant Workers
노동법논총
2006 .06
동아시아 국가의 외국인근로자 유입과 법적 보호
노동법논총
2010 .08
이주노동자 관련 범죄보도 노출과 접촉 경험이 내국인의 제노포비아와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다문화콘텐츠연구
2014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