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황지욱 (전북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지역개발학회 한국지역개발학회지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2권 제4호
발행연도
2010.12
수록면
169 - 184 (1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Small gardens in the urban areas are a sort of open spaces, where all people are able to experience the natural circumstance and cultivate flowers, fruits and vegetables even in a little amount. But in Korea the small gardens within urban areas aren"t secured legislatively. Accordingly, it is urgent to find out institutional device to secure legal cultivation of flowers, fruits and vegetables in urban areas, especially for those who manage small gardens self-sufficiently. In this context, it is examined the function of small gardens and then searched the lessons of german legislative device, "Bundeskleingartengesetz", how the small garden is created. managed and preserved in relation to the land use plan. For the application in Korea, a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with a method of resident"s interview to ask the garden use behavior and satisfaction. In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e user knowledge and experience of small gardens and the residents" participa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data, it is discussed about the social effect from the view of urban regeneration and suggested some legislative principles and devices.

목차

Abstract
1. 서론
2. 독일의 텃밭, ‘클라인가르텐(Kleingarten)’ 고찰
3. 전주시 도시근린공원과 텃밭 조사?분석
4. 텃밭공원의 조성을 위한 대안적 접근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