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혜정 (경기대학교)
저널정보
역사학회 역사학보 歷史學報 第214輯
발행연도
2012.6
수록면
295 - 327 (3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How global is global history actually? This is not a question to be concluded from the concept itself, but a question to be analysed on multiple levels. This paper approaches global history not as a comprehensive, de-centralized, objective history, but as an epistemological paradigm with ideological implications. In order to disclose and explore these intercepted implications, global history paradigm is divided into three major subparadigms, i.e. world/global history as inter-history, world system theory and global history from below.
A balance sheet contrasting each sub-paradigm’s problems and arguments introduced in this paper shows that an active experiment for developing unlimited numbers of narrative strategies, depending on various themes and periods, by cross-fertilizing these three sub-paradigms is needed more than attempts to find one ideal type of global history. If we give up this fixation on the nominality of global history, even concepts with teleological connotations like cultural borders could serve as an excellent conduit for writing global history.

목차

Ⅰ. 서론: 지구화 시대의 지구사적 패러다임 전환
Ⅱ. 지구사 패러다임의 개념적 해명의 난맥
Ⅲ. 복수의 지구사: 지구사의 세 가지 하위 패러다임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911-001339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