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박경수 (한양사이버대학교) 이채식 (우송정보대학교) 이형렬 (대전보건대학교) 이세영 (일본여자대학교) 박현주 (서울시립대학교) 박영미 (대전시시립장애인종합복지관) 김동기 (목원대학교) 김재익 (강남굿잡자립생활센터) 이정주 (성남시 한마음복지관) 윤재영 (삼육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위탁과제보고서 위탁연구 2011-05
발행연도
2011.12
수록면
1 - 260 (26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Recently, interest in employment in the independent living paradigm is increasing. Therefore, disabilities persons self-help group in the traditional personal assistant service, disability advocacy movement and beyond, and unique business and employment support service is an evolving trend. With severe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in order to settle a truly independent living link with the employment is considered a very important factor.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living and vocational factors must be identified and measures that support should be specifically sought, but the situation is not mad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mployment associated with severe disabilities persons for settlement of independent living.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Independent living for severe disabilities persons to ensure Labor policies and practical dimension.

목차

[표지]
[목차]
표목차
그림 목차
[Abstract]
[연구요약]
제 1 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 방법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1절 자립생활개념의 이해
제2절 자립생활의 구성요소 및 결정요인
제3절 자립생활과 고용과의 관계성
제 3 장 조사결과 분석
제1절 양적 조사결과
제2절 질적 조사결과
제3절 조사결과의 시사점
제 4 장 자립생활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제1절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관련 인프라구축
제2절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참고문헌]
[부록]
1. 설문조사표
2. 심층면접조사지
3. 심층면접대상자 사례 개요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336-000645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