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머리말
II. 또 하나의 해석의 관점
III. 1960년대 중반 한국사회와 실험미술
IV. 새마을 운동과 실험미술의 전개
V. 유신과 포크송 시대의 실험미술
VI. 맺음말 : 공존의 의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실험미술과 사회」 : 한국의 새마을 운동과 유신의 시대(1961-1979)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00 .12
괜찮아 마을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0 .05
한국의 실험미술 : AG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
1998 .11
김이순 저, 『조선왕실 원의 석물』(한국미술연구소, 2016)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7 .03
한국 현대미술 30년과 미술시장의 기능, 역기능
현대미술학 논문집
1999 .04
중국실험미술의 정치적 표현 연구
예술과 미디어
2013 .01
한국 1980년대, 1990년대 미술문화의 흐름
한국조형예술학회 세미나
2002 .01
근대미술의 기점에 대하여 : 중세미술 말기에 있어 미술 담당층과 미술종류 체계의 변모
한국근현대미술사학
1995 .11
광복 후의 미술운동(1945-195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1995 .11
환경미술의 의미와 전망 : 생태학과 미술
현대미술학 논문집
2002 .12
조선시대말기의 시대상황과 미술활동
한국근현대미술사학
1994 .11
식민지시대 도시공간과 미술 : 1930년대 경성의 풍경과 미술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02 .12
[한국 미술 해외전시] 샌프란시스코 동양미술박물관의 <고려미술 특별전>
미술사연구
2003 .12
‘1989년 이후 현대미술’의 담론의 전개양상 (I) 개념미술과 비판적 전환
현대미술학 논문집
2015 .12
Contemporary Art in a Neoliberal Climate
현대미술사연구
2006 .12
2015 기억키움 마을만들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7 .05
해외미술전 속의 한국미술의 얼굴
현대미술사연구
2010 .12
선망과 극복의 대상 : 한국 근대미술과 서양미술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05 .06
홍선표 지음, 『조선 회화』(CAS한국미술연구소, 2014. 5)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5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