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삼청동 소비공간의 형성 - 정치경제학적 발생
Ⅲ. 삼청동 소비공간의 경험-외부 공간과 내부 삶의 경합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우리 도시 속 이방공간
문화과학
2011 .09
Consuming Spaces in the Global Era : Distinctions between Consumer Spaces in Seoul
Korea Journal
2004 .09
교육기능에 따른 도시 공간의 변화 : 목동 신시가지를 중심으로
도시연구
2012 .12
포스트모던 도시에 대한 사회학적 탐색- 몸, 공간, 정체성
도시인문학연구
2018 .01
도시의 서사적 공간 형상 : 한국 현대소설에 투영된 몇 가지 국면
현대소설연구
2007 .09
도시 공간과 젠더의 관계성 -도심 성인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주류화와 창원 상남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시민윤리학회보
2013 .01
한국인의 수사상(數思想) 고찰
고조선단군학
2006 .12
THE REAL THING의 포스트모던적 공간 미학
신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2000 .01
‘청주ㆍ직지’ 의 도시브랜드 구축을 위한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호서문화논총
2005 .02
도시공간에서의 문화
황해문화
1996 .09
사회적 공간으로서 청계천의 의미 형성과 변화
지방사와 지방문화
2008 .05
현대 일본에서의 "포스트모던"과 국가
문화과학
2001 .06
1960-70년대 소설에 나타난 공간의 문화정치학 : 최일남․이동하․최인호의 소설을 중심으로
어문학
2009 .03
대중적 한국문화론의 생산과 소비 : 1980년대 후반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1999 .06
도시복합공간의 장소성에 대한 이해- 정보기술, 이동성에 따른 공간인지 변화의 관점에서
담론201
2015 .01
근대의 자연 공간과 인식 공간
철학연구
2010 .12
한국 사회 내 교회 공간 읽기와 공간 구조 균열 만들기- 폭력과 통제의 공간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적 고찰 -
기독교사회윤리
2013 .01
How can a Body Connecting to Locative Media Practice Urban Space?: “Feeling” as the Technique of Orientation in the Digital Age
도시인문학연구
2020 .01
국문학 분야 도시 연구의 동향과 전망
도시인문학연구
201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