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박미영 (건국대학교) 김문덕 (건국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발행연도
2010.10
수록면
101 - 107 (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ree types of residential remodeling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by conducting a precedent study between the residence for normal people and the residence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along with 19 case studies for the handicapped living in rented apartment specially built for them under a 2009 Incheon City’s Housing Project for the Handicapped. Residential remodeling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which are functional, environmental, and aesthetic remodeling. First, the functional remodeling means to remodel residential environment based on necessary factors required for independent lives of the handicapped, which allows the handicapped to secure basic living with the sense of safety and convenience. Second, the environmental remodeling means improved residential environment by controlling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makes it possible for them to have sanitary places required for healthy life and enhancement of quality life. Finally, the aesthetic remodeling means remodeling in 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erspective, relating to visual cognition.

목차

Abstract
1. 서론
2. 신체장애인의 주거생활방식과 개조 현황
3. 장애인 주거공간개조 분석방법 고찰
4. 개조 유형 분류에 의한 신체장애인의 주거공간 개조 사례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610-002577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