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 초록]
Ⅰ. 머리말
Ⅱ. 감정사회학의 터 닦기: 이분법적 전통 넘어서기
Ⅲ. 감정의 거시사회학의 터 닦기: 행위와 구조 연결 짓기
Ⅳ. 감정의 거시사회학 방법론 모색
Ⅴ. 거시적 감정사회학의 개념적 장치들과 감정 동학
Ⅵ. 결론적 논평: ‘감정적 전환‘의 사회학적 의미와 ‘감정정치‘
참고 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문화사회학과 일상생활사회학
문화와 사회
2007 .11
공공사회학은 부활해야 하는가? : 한국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회학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018 .08
세계수준의 한국사회학을 향하여 : 과학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몇가지 제언
한국사회학
2001 .04
구성된 감정이론에 기초한 도덕감정의 발달 방안 탐색
도덕윤리과교육
2020 .05
사회학의 위기에 대처하는 두 가지 방법 : 공공사회학(public sociology)과 “전문적 사회학의 스트롱 프로그램(strong program in professional sociology)”에 대한 체계이론적 비판을 중심으로
사회와이론
2010 .11
2010년의 한국사회학 : 현실적합성 제고를 위한 제언
한국사회학
2010 .10
한국문화사회학의 쟁점과 과제 : <한국문화사회학회> 연구를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016 .04
영국 사회학의 사회학 : 탈분과적 접근과 한국 사회학에 대한 교훈
경제와사회
2010 .12
공동체의 미래를 디자인하는 사회학
한국사회학
2020 .02
양적 방법은 미국사회학을 어떻게 지배하게 되었나?
사회와이론
2018 .05
사회학의 위기 논쟁과 비판사회학의 대응
경제와사회
2010 .12
분류와 범주의 지식사회학 : 뒤르껭의 사회학적 인식론
한국사회과학연구
1993 .12
한완상과 비판사회학의 형성
한국사회학
2017 .02
이만갑의 사회학
한국사회학
2016 .04
‘감정사회학’의 어려움 : 박형신·정수남, 『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 공포 감정의 거시사회학』 (한길사, 2015)
경제와사회
2016 .06
아카데미사회학의 인식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주체적인 사회학을 지향하여
한국사회학
1983 .12
김경동과 아카데믹 사회학의 형성
한국사회학
2016 .08
두 번째로 화난 그림은 안 되나요? : 아동화에 나타난 감정 표현의 사회화
미술과 교육
2006 .06
한국사회학에서의 여성연구: 통합(integration)과 분리(segregation)의 이중전략
여성학논집
2014 .01
사회학과 나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3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