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개봉된 공포영화 <장화, 홍련>은 약 314만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당시 일부에서는 영화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이 영화는 2003년을 전후로 개봉된 공포영화 중 가장 큰 호평을 받았다. 영화 속 4명의 주인공은 한 가족이고, 아빠의 외도로 가족 간 갈등이 시작된다. 무현(아빠)의 외도는 아내의 자살로 이어지고, 아내이자 엄마의 자살은 수연(동생)의 죽음으로 또다시 이어지는데, 이때 수연의 죽음에 은주(새엄마)가 관련되어 있다.수미(언니)는 수연이 죽은 후 은주가 수연의 죽음을 그대로 방치한 사실로 큰 상처를 받지만, 동시에 그런 은주의 행동에 자신도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달으며 동생을 죽게 한 죄의식도 느낀다. 은주 역시 수미의 독설로 상처를 받았지만 그에 대한 복수로 수연을 죽게 한 사실에 죄의식을 느낀다. 김지운 감독은 개봉당시 인터뷰에서 “이 영화는 가족 간 상처와 죄의식에 관한 영화”라 밝혔는데,영화 속에서 가족이 주고받은 상처와 죄의식은 가상과 실재 이미지가 뒤섞인 공포 이미지로 그려진다. 상처는 가상 이미지로,죄의식은 실재 이미지로 표현된다. 이 글에서는 가상과 실재 이미지를 설명해주는 영화 속 스틸사진을 제시하면서 상처와 죄의식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 주인공 간 갈등을 유발하는 매개체 3가지가 지닌 상징적 의미도 서술하였다
The horro movie which was released in2003, <A Tale of Two Sisters> was a box office hit drawing audiences totaling 3,140,000 people. Then, there were partial opinions that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movie. However, it was most favorably received in the horror movies which were released before and after 2003. The 4 main characters in the movie are a family. The family conflicts begin as the dad has an affair. Muhyeon(the dad)’s infidelity leads his wife to kill herself. The suicide of the wife and mom againl eads Suyeon(the younger sister) to be dead. At this moment, Suyeon’s death is related to Eunju(the step mom). Sumi(the older sister)is deeply hurt by the fact that Eunju left her younger sister’s death after she was dead. But at the same time, she realizes that she is also related to Eunju’s act. And she felt guilty about her younger sister’s death. Eunju was also hurt by Sumi’s biting remarks. However, she feels guilty about the fact that she made Suyeon be dead. Director Jiun Kim said in the interview when it was released, “this movie is about hurts and guilt among families.” These hurts and guilt are expressed by horror images that imagination and reality are mixed. Hurts are expressed by virtual images and guilt is done by real images. This paper presented still pictures which explain the virtual and real images and examined what hurts and guiltmean. And it described the symbolic meanings of three media which cause conflicts among main charac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