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소영 (용인대학교)
저널정보
한국국악교육학회 국악교육 국악교육 제38집
발행연도
2014.12
수록면
191 - 218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근대적인 전문 국악교육은 20세기에 들어서 그 틀이 정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20세기 전반기에 비제도권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국악교육은 후반기에 들어 학교교육 내의 제도권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서울대학교 국악과의 창설은 이러한 전문 국악교육의 분수령이 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서울대학교 국악과 창설이 후반기 제도권 교육의 시작점이기 때문일 뿐만 아니라 서울대학교 국악과의 교육과정이 다른 대학 국악과의 교육과정에 모범적으로 확립되면서 전문 국악교육이 더욱 공고해졌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서울대 국악과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보는 것은 대학에서의 전문 국악교육의 변천을 살피는 데에 있어 기본이 되는 작업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968년도부터 2006년도까지 서울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된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국악과의 전공 관련 교과를 실기교과목과 이론교과목으로 구분하고, 이들 교육과정의 변화를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하였다. 첫째, 국악과의 졸업 최저 이수학점은 점차 축소되는 변화를 보였는데 이는 음악인에 대한 시대적 요구가 변화하면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 선택의 기회를 마련해 준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실기교과의 경우 양악 관련의 교과가 점차 축소되고 국악 관련 교과는 보다 구체화되고 세분하게 운영하도록 체계화 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수업내용 면에서 볼 때, 정악, 산조, 창작악의 순으로 학습하던 전통은 현재까지도 이어졌고, 과목별로 사회적 현상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증설하거나, 편제에 변화를 주는 방향으로 능동적으로 운용하여 시대에 맞는 음악인을 양성하고자 꾸준히 개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서울대학교 국악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교과과정의 변화가 훌륭한 전문국악인의 양성하고자 하는 꾸준한 노력의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서울대학교 국악과 교과과정이 우리나라 국악교육 전반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해서 서울대학교 국악과는 차세대 국악인들을 위한 효과적인 교과 운영방법에 대해서 끊임없이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교육과정 내의 교과목 변화
Ⅲ. 맺음말
참고문헌

참고문헌 (15)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