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NTRODUCTION
FERTILITY FEATURES
CAUSES OF LOWEST LOW FERTILITY
FUTURE SOCIETAL RISKS OF LOWEST LOW FERTILITY
CONCLUS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Land, Education, and Reproduction: Changing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a Rural Korean Village
Journal of Asian Sociology
2024 .09
A Comparison of the Determinants of Low Marital Fertility between Korea and Japan
한국사회학
2016 .06
한국과 일본 여성청년실업의 출산탄력성 분석
한일경상논집
2021 .11
저출산 문제에 대한 인식과 대응 - 일본의 저출산 대책이 주는 정책적 시사점 -
Crisisonomy
2017 .01
Shaping Low Fertility Policies - A Comparative Analysis of Initial Policy Making Processes in South Korea and Japan Using Multiple Streams Theory -
Crisisonomy
2024 .08
Does the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drive down the total fertility rate?
Journal of Economic Research (JER)
2020 .01
지역 합계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횡단면 의존성을 고려한 모형을 이용하여
아태비즈니스연구
2024 .03
새로운 형태의 출산 및 보육정책에 대한 제언
응용경제
2019 .01
한국의 초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조합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2023 .06
시스템 사고를 활용한 저출산과 교육의 인과 현상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024 .03
시도별 출산율 추계의 합리적 모색방안
한국인구학
2025 .03
인구규모에 따른 지역 간 출산율 차이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비교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20 .11
한국사회의 교육과 출산 간 관계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교육학연구
2017 .01
한국 저출산 대응정책에 관한 행정・정책학 연구 경향과 과제: 미시적 수준의 사회적 의미형성 관점에서
국가정책연구
2023 .03
저출산 대응 법제 분석과 향후 과제-관련 법에 나타난 저출산 정책 관련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법제연구
2018 .01
노동소득분배율과 출산율 : 16개 시도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GRI 연구논총
2021 .08
저출산 대책,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인구학
2015 .06
한국의 출산격차 영향요인 실증분석 - 희망자녀수와 현실자녀수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보
2015 .01
미혼남녀의 결혼과 출산에 관한 가치관 분석과 이해: 가족가치관 유형과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022 .09
EU의 ‘인구 절벽’ 위기 극복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EU 호라이즌 2020 사례 연구
유럽연구
2019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