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국문초록〉
1. 문제제기
2. 청년 세대 담론 부상의 사회적 배경
3. 청년 세대 담론의 한계와 젠더 통념
4. ‘청년 세대’를 젠더화하기: 남성성 연구의 시사점
5. 한국 청년 세대의 남성성
6. 소비주의와 신자유주의에 대항하여
7.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30대 남성들의 하이브리드 남성성
한국여성학
2020 .03
청년 남성들의 젠더 인식 다층성
한국여성학
2021 .12
서구 남성사 연구의 주요 의제들
젠더와 문화
2017 .12
돌보는 남성성의 가능성 모색: 남성의 가족돌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21 .09
한국 경찰영화에 재현된 남성성 - 2010년대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2 .02
‘남자로서의 당연한 삶은 없다’: 20-30대 남성들의 ‘성찰적 개인화’와 새로운 관계적 삶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21 .03
생활광고에 나타난 남성성 변화에 대한 분석 : 2000년부터 2017년까지의 생활CF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018 .06
젠더와 돌봄 : 남성의 돌봄 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17 .06
온라인 커뮤니티와 남성-약자 서사 구축 : ‘여성혐오’ 및 성차별 사건 관련 게시판 토론의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17 .09
1970년대 김주영 대중소설의 ‘남성성’ 구현양상과 의미 - <목마 위의 여자>, <위대한 악령>, <위험한 남자>를 중심으로 -
문화와융합
2023 .02
청년 남성의 세계관과 ‘이대남’ 논쟁: 지방 대학 사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4 .10
부산지역 2030 청년세대 젠더인식 조사 및 대응방안
연구보고서
2022 .09
청년세대와 젠더 갈등: 정치적 응답과 책임이 필요한 문제
여성우리
2022 .10
50-60대 고학력 남성이 인식하는 남성다움에 대한 개념도 연구
젠더와 문화
2024 .06
성석제 소설에 나타난 남성인물 형상화 고찰-『투명인간』을 중심으로-
사회융합연구
2021 .01
일본 드라마
한국여성학
2024 .06
가족돌봄청년 : 숨겨져 있던 그들을 만나다
여성우리
2023 .04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남성의 가사노동시간 비교
가정과삶의질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021 .05
‘청년 안에서부터 바깥으로’ : 미메시스 이론을 근간으로 1990년대와 2010년대 청년세대의 저항 및 욕망과 대중음악의 연관성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8 .02
부산지역 2030 청년세대의 젠더인식, 격차문제와 해소방안
부산여성가족 Brief
2023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