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론문요지
1. 서론
2. 언어학의 리론, “언어와 언어행위“ 리론으로부터 본 언어규범화의 당위성
3. 중국의 언어정책으로부터 본 조선어규범화사업의 필요성
4. 언어규범화의 기본원칙, “이성원칙“과 “습성원칙“으로부터 본 중국조선어규범화의 영향
5. 결론
참고문헌
?文摘要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국 조선어의 언어접촉과 규범화에 대한 약간한 생각
중국조선어문
2017 .01
중국 조선어 규범화연구에 대한 고찰 : 《중국조선어문》잡지의 론문을 고찰대상으로
중국조선어문
2018 .03
한국과 조선 그리고 중국조선어 맞춤법의 비교연구
중국조선어문
2015 .03
언어의 저편
수필미학
2020 .12
새의 언어 외 1편
시조시학
2023 .09
활의 언어 외 1편
문학들
2015 .11
[작품론] 재생적 상상력과 염결廉潔의 언어
시조시학
2016 .06
빅데이터의 정확한 언어와 모호한 언어
새국어생활
2016 .00
A Case Study of a Korean-English Emergent Bilingual Child in a Korean Ethnic Community School in the U.S.
이중언어학
2017 .01
조선 후기 華音과 東音의 규범화와 인식
한국중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2022 .03
‘언어적 공산주의’와 ‘언어의 소외’라는 근대적 언어인식에 대하여 : ‘주체의 언어리론’의 경우
코기토
2023 .02
[세계의 언어 정책]일본의 언어 연구 사전
새국어생활
2019 .09
자연언어처리를 위한 언어모델 분석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0 .04
제도상의 언어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6 .04
문학의 언어 & 생활의 언어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12
언어학과 언어산업: 음성언어처리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23 .06
언어로 하는 폭력, 언어에 대한 권력
지식의 지평
2015 .04
중국 조선어의 언어 접촉과 코드 스위칭 연구 -베이징시 조선족 구어 담화를 중심으로
영주어문
2020 .01
[세계의 언어 정책] 다민족 다중 언어 국가 인도의 언어 정책
새국어생활
2015 .06
[세계의 언어 정책] 사회 언어학적 시각으로 보는 카자흐스탄 언어 정책
새국어생활
2017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