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이론적 배경
3. 자료의 구축
4. 지역노동시장권 일자리 창출과 소멸 분석 결과
5. 일자리 변동의 결정요인 분석
6.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The Role of Labor Market Flexibility on Labor Markets in India
[KIEP] KIEP Opinions
2015 .09
Evaluation of Recent Labor Market Situation through Labor Market Transition Rate
[BOK] Quarterly Bulletin(QB)
2017 .06
감정노동자들이 제공하고 있는 직업 이미지 및 직업선호도가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2018 .01
The Youth Struggle for Jobs in South Korea: Dualism, Inequality, and Youth Labor Market
JIAS
2020 .01
노동시장정책과 쟁점 검토
노동법논총
2015 .08
Job Creation during Korea’s Transition to a Knowledge Economy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2022 .08
구직 방법과 일궁합에 따른 잡매칭이 대졸자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
2019 .01
일자리 이동 여부에 따른 불안정노동 상태 변화
한국비교정부학보
2019 .01
Job Creation, Destruction, and Regional Employment Growth: Evidence from Korean Establishment-level Data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2015 .11
Future Direction of Job Creation Programs in Korea
[KDI] KDI 정책포럼
2015 .03
외식산업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한국외식산업학회지
2023 .08
Labor Market Outcomes of Voucher Based Job Training -Evidence from an Analysis of Job Training Participant Survey in Korea
지역사회학
2019 .01
감정노동에 따른 공항서비스 직원의 심리적 메커니즘에 관한 실증연구
유통과학연구
2017 .01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험요인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2015 .01
근로권의 재해석
법학논총
2020 .01
근로감독관의 업무특성과 직무성과
산업노동연구
2016 .01
일자리의 지리와 소득 결정의 지역성 연구 : 지방 광역대도시 노동시장의 사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17 .08
Implication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Job Creation Project
[KDI] KDI FOCUS
2016 .09
oriented job creation led by local government-7-Year campaign on job creation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세미나·토론회
2018 .04
도시 및 농촌지역 사업체 유형별 노동시장 안정성 비교분석: 산업군, 종사자규모 및 존속기간별 유형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2017 .01
0